폭설·강풍 피해 예방 위한 ‘내재해 설계기준’ 개정

원예·특작시설의 적설심·풍속 기준 상향
적설심 14개 지역, 풍속 8개 지역에 적용

  • 입력 2025.11.04 16:20
  • 기자명 김수나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김수나 기자]

원예작물 온실과 인삼 해가림시설이 폭설과 강풍에 더 잘 견딜 수 있도록 강화한 내재해(재해에 견딜 수 있는) 설계기준이 지난달 31일부터 전국 22개 지역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농식품부)는 2024년까지의 기상자료를 분석해 「원예·특작시설 내재해 설계기준 및 내재해형 시설 규격 등록 규정(내재해 기준 고시)」를 개정했다. 내재해 기준은 적설심(눈의 깊이)과 풍속으로 나뉘는데, 적설심은 14개 지역, 풍속은 8개 지역에서 강화됐다.

이번 개정은 지난 2024년 11월 중부지역을 강타한 폭설·강풍으로 대규모 피해가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당시 피해 규모는 1만5000농가에서 농작물 476ha, 농업시설 2525ha 등이며, 농업시설 가운데 비닐하우스 773ha, 인삼시설 1130ha 규모로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아울러 이번 개정에서는 설계기준 최대 구간인 지역(적설심 40cm이상 22개 지역, 풍속 초속 40m이상 16개 지역)에 대해 적설심과 풍속을 지역별로 표시해 현장에서 쓰이도록 했다.

2024년 12월 중부지역에 내린 폭설로 주저앉은 포도 연동하우스(경기 안성). 
2024년 12월 중부지역에 내린 폭설로 주저앉은 포도 연동하우스(경기 안성). 

내재해 기준은 의무적으로 지켜야 하는 것은 아니나, 온실 설치 관련 각종 정책자금의 지원 요건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를테면 재해로 인해 파손된 온실을 다시 지어야 할 때 내재해 기준이 적용된 시설에 정잭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스마트팜ICT(정보통신기술)융복합확산사업으로 온실 신축 및 내부설비 설치를 지원받을 수 있다.

한편 농식품부는 재해에 따른 농민과 정부의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 2007년부터 내재해 기준 고시를 제정해 시행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시설채소 비닐온실(5만2721ha)의 44%가 내재해 시설로 전환됐다.

홍인기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이번 내재해 기준 고시 개정은 최근 심화하는 자연재해에 사전 대비를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내재해 시설 설치를 위한 정책사업을 지속 지원하겠다”라며 “경제적 손실 최소화를 위해 농업현장에서 내재해 기준을 적극 활용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