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GMO 감자 수입 승인 말고 완전표시제 시행하라”

GMO 감자, 식약처 승인 앞둬
시민사회단체 반대 기자회견

  • 입력 2025.04.17 19:02
  • 수정 2025.04.17 19:09
  • 기자명 김량규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김량규 기자]

농촌진흥청의 환경위해성 심사 통과 이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최종 승인 절차를 앞둔 상황에서 시민사회단체들이 지난 11일 충북 청주시 식약처 앞에서 GMO 감자 수입 반대 기자회견을 열었다.
농촌진흥청의 환경위해성 심사 통과 이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최종 승인 절차를 앞둔 상황에서 시민사회단체들이 지난 11일 충북 청주시 식약처 앞에서 GMO 감자 수입 반대 기자회견을 열었다.
농촌진흥청의 환경위해성 심사 통과 이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최종 승인 절차를 앞둔 상황에서 시민사회단체들이 지난 11일 충북 청주시 식약처 앞에서 피켓을 들고 항의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의 환경위해성 심사 통과 이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최종 승인 절차를 앞둔 상황에서 시민사회단체들이 지난 11일 충북 청주시 식약처 앞에서 피켓을 들고 항의하고 있다.

GMO 감자에 대한 농촌진흥청의 환경위해성 심사 통과 이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식약처)의 최종 승인 절차를 앞둔 상황에서 시민사회단체들이 지난 11일 충북 청주시 식약처 앞에서 GMO 감자 수입 반대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현장에는 충청권 농민·생협 단체와 전국 GMO반대운동 단체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참가자들은 미국 식품기업 심플로트사가 개발한 GMO 감자 3종(SPS-E12, SPS-Y9, SPS-X17)의 국내 수입 승인 절차가 사실상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다며 식약처에 수입 승인 절차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신지연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사무총장은 “저는 토종씨앗을 지키며 농사짓는 여성농민이자 두 아이의 엄마”라며 “GMO 감자 문제는 농민에게는 생존권의 문제이고, 국민에게는 안전한 먹거리를 마음 놓고 먹을 권리를 위협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신 총장은 “현재 곡물자급률이 20%대에 불과한 상황에서, 감자는 몇 안 되는 자급률이 높은 작물인데 GMO 감자가 수입되면 이마저도 무너질 수 있다”며 “여성농민들은 GMO 감자 수입을 막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장현예 국제슬로푸드한국협회 상임이사도 “GMO 감자 수입 승인은 단지 하나의 식품 문제가 아니라, 세 가지 중대한 위험을 동반한다”고 말했다. △국민의 건강권 침해 △국내 생태계 오염과 교란 △소농과 감자 자급 체계 붕괴 등의 위험을 강조한 장 이사는 “구조적이고 되돌리기 어려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정부는 수입 승인 속도를 내는 것보다 국민적 합의를 우선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최 측은 성명서를 통해 “감자는 자급률이 높은 작물이며, GMO 감자 수입은 국내 감자 농가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식량자급률을 붕괴시킬 수 있다”며 “식약처는 국민과 농민의 반대 목소리를 무시하지 말고 수입 승인 절차를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농촌진흥청의 환경위해성 심사 통과 이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최종 승인 절차를 앞둔 상황에서 시민사회단체들이 지난 11일 충북 청주시 식약처 앞에서 분필로 'GMO 감자반대' 문구를 적는 상징의식을 펼쳤다.
농촌진흥청의 환경위해성 심사 통과 이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최종 승인 절차를 앞둔 상황에서 시민사회단체들이 지난 11일 충북 청주시 식약처 앞에서 분필로 'GMO 감자반대' 문구를 적는 상징의식을 펼쳤다.

또한 GMO 감자가 패스트푸드점 등 식품접객업소에서 표시 의무 없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하며, “소비자의 알 권리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GMO 완전표시제는 더 이상 미뤄져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참가자들은 ‘GMO 감자 승인 말고, GMO 완전표시제 시행하라’, ‘식약처는 수입 승인 절차를 중단하라’는 등의 구호를 외치며 식약처 정문 앞에 모여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현장 바닥에는 분필로 ‘국민의 밥상을 GMO로 채우지 말라’는 등의 요구 문구를 적는 상징의식도 펼쳐졌으며 시민단체 대표들이 차례로 성명서를 낭독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