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정신문 김수나 기자 ㅣ 일본 도쿄]
국민과함께하는농민의길(농민의길)과 일본 농민운동전국연합회(노민렌)이 지난 27일 일본 도쿄 이타바시에서 ‘쌀 의무수입 철폐와 식량주권 수호를 위한 한·일 농민 연대를 위한 선언’에 합의했다.
농민의길은 전종덕 국회의원·박형대 전남도의원(진보당)과 함께 WTO 쌀 의무수입 재협상을 위한 한일 연대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27일부터 28일까지 1박2일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 중이다. 농민의길을 대표해서는 정영이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회장(농민의길 공동대표)과 엄청나 전국쌀생산자협회 정책위원장이 함께했다.
이날 도쿄 이타바시에 있는 노민렌 사무실에서 열린 두 농민단체 간 간담회에서는 WTO 체제에서 시작된 지난 30년간의 쌀 의무도입 물량을 재협상할 때가 됐다는 문제의식, 양국의 쌀 생산 감소 정책 기조에 대한 비판과 이에 따른 농민 생존권 위기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에 노민렌은 농민의길이 준비·제안한 한·일(일·한) 농민단체 공동성명에 대해 이 자리에서 전격 합의하고 관련해 앞으로도 더 활발한 교류와 연대를 이어가기로 했다.
공동성명은 △쌀 농업은 양국에서 농민의 생존과 식량주권의 핵심이며, 자국민의 먹거리를 책임지는 기반 산업임 △WTO 체제 쌀 의무수입이 국내 쌀 생산·수급을 파괴하고 자국 농민의 생존을 위협함 △미국 등의 일방적 통상압력은 자국 농정 침해 및 명백한 주권 침해라는 점이란 인식을 같이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인식 아래 두 나라 농민들은 “부당한 통상압력에 맞서 쌀 의무수입 제도 전면 재협상을 요구하고, 이를 위한 한일 농민 간 연대를 강화할 것을 선언”하며, 양국 정부에 쌀 자급 체계 유지와 식량안보 실현 책무, 국제 곡물 시장의 불안정 속에서 농민의 삶과 주권을 지킬 수 있는 대책 마련을 촉구하자는 내용이다.
이날 간담회에서 정영이 농민의길 공동대표가 “양국이 직면한 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한 농민 간 공동 연대와 대응을 제안하기 위해 우리가 준비한 공동 선언문을 검토해 주시길 요청한다”라고 제안했다.
이어 박형대 전남도의원이 “이번 기회를 통해 협력을 시작해 보자는 차원이다. 트럼프 통상 압력에 대한 공동 대응, 쌀 의무수입 재협상에 대한 것이 골자다. 이에 대해 한·일 농민단체, 농협, 의회 간 교류와 협력을 확대하고, 나아가 쌀을 주식으로 하는 동아시아 농민들이 비아캄페시나를 중심으로 관련한 목소리를 높이면서 식량주권을 자유무역 체제에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한 걸음 내딛자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온라인 화상으로 간담회에 참여한 하세가와 마이부로 노민렌 회장과 현장에서 참여한 요시오 사사와타리 노민렌 부회장, 아사코 후지와라 노민렌 사무국장 등은 공동 선언문을 그 자리에 바로 검토한 뒤 적극 동의한다고 밝혔다.
요시오 사사와타리 노민렌 부회장이 “공동 성명서는 우리와 완전히 일치하는 내용이다. 이에 대해 더 많이 의논하고 교류하고 싶다”라고 화답해 한국 방문단과 간담회 참가자들 사이에서 박수가 터져 나오기도 했다.
아사코 후지와라 노민렌 사무국장은 “한국과의 연대를 꼭 같이 추진해 보자. 일본도 트럼프 관세에 반대 운동을 하며 시민의 서명도 모으고 있으니 여러모로 함께 해보자”라고 답했다.
두 단체는 이후 국제 농민운동 단체 연합인 비아캄페시나 차원의 연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