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정신문 임순만 기자]
지난 6일 전남 영암군 시종면 신학리2구 정동마을회관 앞 광장에서 영암제2변전소(154kV) 건설 관련 주민공청회가 열렸다. 영암군농민회 주관으로 열린 주민공청회에는 신학리2구 주민, 시종면 농민회원, 서삼석 국회의원, 우승희 영암군수, 신승철 전남도의원, 고화자 영암군의회 부의장과 4명의 군의원, 한국전력공사(한전)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권혁주 영암군농민회 정책실장은 경과보고에서 “2020년 9월부터 2021년 6월 사이 한전이 입지선정위원회를 통해 신학리로 입지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신학리 주민 그 누구의 참여도 없었다”고 개탄하며 “지금까지 주민들의 반대 목소리가 계속되고 있음에도 지난 10월 한전 측에서 변전소 강행 추진 의사를 전달해와 지역 주민들과 국회의원, 영암군수, 영암군의원, 주민대표 등이 주민들의 의사를 확인하고자 공청회를 열게 됐다”고 밝혔다.
신학리 주민들은 “진짜 핵심은 여기 간척지에 태양광을 할 목적으로 변전소를 설치하려고 하니까 우리는 반대를 한 것이다”, “한전에 상반기 적자가 14조원이라고 얘기를 들었는데, 어떻게 해서든 전력 단가나 산업용 전기 단가를 조절해 적자 줄일 생각을 해야지 왜 자꾸 200억원 들여 변전소를 짓고 송전선로를 짓겠다는 것인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반대의 목소리를 높였다.
또 한 주민은 “신학리 변전소 대책위원장이 얼마 전에 쓰러지셨는데 만약 이렇게 투쟁을 하다가 대책위원장이 운명을 달리하게 돼도 계속 강행하겠다고 하겠느냐”며 한전 측에 울분에 찬 물음을 던졌다.
김봉식(군서면)씨는 “변전소하고는 조금 다를 수 있지만 영암은 태양광 사업으로 인해 2년째 미암·삼호·군서·시종 등의 지역이 무지하게 시끄럽다. 업자들은 농가들을 만나면서 수익이 얼마 나니까 같이 하자고 하고 있지만, 만약 태양광 사업이 확대돼서 1개 면 정도 면적이 없어지는 상황이 됐을 때 아무 문제가 없는 것인지 군이나 군의회에서 명확하게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이 문제를 오롯이 시골 ‘아짐’들의 개인 판단에만 맡겨야 하는 상황이 너무 안타깝다”며 “군이나 의회에서 공개적으로 토론하고 면밀하게 검토해 업자들이 주도해 가는 재생에너지 판이 아니라 주민들도 함께 논의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제안했다.
한전 측 관계자는 전력 수급 계획과 「전원개발촉진법」에 의해서 강행할 수밖에 없다며「전원개발촉진법」은 개발행위 허가와는 상관이 없고 영암군을 공무집행방해로 고발하는 방법도 검토하고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형선 변전소반대 신학리 대책위원장은 “변전소가 들어서게 되면 우후죽순 농지 태양광이 우리 고향을 잠식할 것이고 그러면 우리 삶의 터전은 전기촌이 돼버리고 말 것이다. 한전에서 계속 밀어붙이고 있어 힘에 부치는 것도 사실이지만 반대의 목소리를 함께 내주는 주민들의 힘을 믿고 해보는 데까지 해보겠다”고 결의했다.
박웅 영암군농민회장은 “이 문제는 보상이나 돈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고향을 지킬 수 있느냐, 우리가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느냐, 우리 후손에게 건강하고 아름다운 우리 고향을 물려줄 수 있느냐의 문제”라며 “영암군농민회는 영암을 지키고 영암 농민들을 대변하기 위해 변전소, 농지태양광, 고압 송전철탑을 막기 위해 끝까지 투쟁을 지속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영암군농민회는 2020년 12월 3일부터 현재까지 영암군청 앞에서 농지태양광, 변전소, 고압 송전철탑을 반대하는 1인 시위를 전개하고 있으며, 이날 공청회 자리에서 241명의 변전소 반대 서명부를 우승희 영암군수에게 전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