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정신문 김한결 기자]
기후위기는 우리의 밥상과 일상을 뒤흔든다. 기후위기의 풍파를 누구보다 먼저 체감하고 있는 농민들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주체이기도 하다. 세계는 이산화탄소를 감축하기 위해 유기농업을 확대하는 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EU는 ‘팜투포크(Farm to Fork, 농장에서 식탁까지)’라는 공동농업정책을 통해 생산부터 소비에 이르는 전 단계에서의 환경친화적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농약과 항생제를 절반으로 감축하고 유기농업에 대한 교육과 공공식당 유기농 확대 등의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세웠다. 또한 2030년까지 유기농업 비율을 농지의 25%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독일의 경우 기후위기법을 제정해 농업분야에선 비료사용 저감·분뇨발효·농기계 전력화 등의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했고, 시민·농민 주도로 재생에너지를 보급해나가고 있다.
덴마크는 유기농 면적을 전체 농지면적의 15% 확대하는 방침을 세웠고, 일본은 녹색식량계획을 통해 유기농업을 2030년까지 3배로, 2050년까지 전체 농지의 25%로 확대하기로 했다. 네덜란드의 경우 농업 부산물을 다시 농업 생산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자원을 절약하는 순환농업을 통해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있다.
한편 1980년대 말 미국의 경제봉쇄와 시대적 배경에 따른 식량위기 상황에서 도시를 경작하기 시작한 쿠바의 사례는 현시점에서 다시 들여다볼 만하다.
쿠바의 도시농업은 화학비료 대신 바이오농약과 가축활용 경작법 등 지역의 자원을 활용한 유기농법으로 이뤄진다. 이렇게 생산된 농산물은 직거래를 통해 시민들에게 공급돼 주요 도시에서 소비되는 식량의 70%를 담당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수입의존도를 낮추고 식량주권을 이뤄낸 것이다.
쿠바의 경험은 기후위기 시대 지속가능한 도시농업과 관행농업의 유기농업 전환에 있어서도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김정열 비아캄페시나 국제조정위원이 2019년 쿠바에 다녀와서 기록한 ‘쿠바의 농생태학과 그 진전을 위한 방법론’에 따르면 섬나라 특성상 재해에 취약한 만큼 국가 차원에서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있고 그 방법으로 농생태학을 택했다. 농약과 화학비료, 석유에 의존하지 않고도 먹거리의 양과 질이 높아졌으며 농민들은 자부심을 갖고 농사를 짓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