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특집-왜 탄소중립 말하나] 탄소중립 시대, 세계적 대세는 저탄소 유기농업

나라별 농업분야 기후위기 대응책은 ··· 쿠바 도시농업 재주목

  • 입력 2022.01.01 00:00
  • 기자명 김한결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김한결 기자]

오가노포니코(Organoponico)는 비옥한 토지가 없을 때 농산물 수확 후 나온 부산물을 퇴비와 섞어 채소를 경작하는 도시농업 형태다. 사진은 쿠바의 수도 아바나의 오가노포니코 중 한 곳. 출처: flickr Chaloos
쿠바 아바나 동쪽의 작은 공동체에서 운영하는 유기농 공동체 텃밭인 알라마르(Alamar) 농장. 출처: flickr courthouselover

기후위기는 우리의 밥상과 일상을 뒤흔든다. 기후위기의 풍파를 누구보다 먼저 체감하고 있는 농민들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주체이기도 하다. 세계는 이산화탄소를 감축하기 위해 유기농업을 확대하는 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EU는 ‘팜투포크(Farm to Fork, 농장에서 식탁까지)’라는 공동농업정책을 통해 생산부터 소비에 이르는 전 단계에서의 환경친화적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농약과 항생제를 절반으로 감축하고 유기농업에 대한 교육과 공공식당 유기농 확대 등의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세웠다. 또한 2030년까지 유기농업 비율을 농지의 25%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독일의 경우 기후위기법을 제정해 농업분야에선 비료사용 저감·분뇨발효·농기계 전력화 등의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했고, 시민·농민 주도로 재생에너지를 보급해나가고 있다.

덴마크는 유기농 면적을 전체 농지면적의 15% 확대하는 방침을 세웠고, 일본은 녹색식량계획을 통해 유기농업을 2030년까지 3배로, 2050년까지 전체 농지의 25%로 확대하기로 했다. 네덜란드의 경우 농업 부산물을 다시 농업 생산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자원을 절약하는 순환농업을 통해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있다.

쿠바 아바나 동쪽의 작은 공동체에서 운영하는 유기농 공동체 텃밭인 알라마르(Alamar) 농장. 출처: flickr courthouselover
오가노포니코(Organoponico)는 비옥한 토지가 없을 때 농산물 수확 후 나온 부산물을 퇴비와 섞어 채소를 경작하는 도시농업 형태다. 사진은 쿠바의 수도 아바나의 오가노포니코 중 한 곳. 출처: flickr Chaloos

한편 1980년대 말 미국의 경제봉쇄와 시대적 배경에 따른 식량위기 상황에서 도시를 경작하기 시작한 쿠바의 사례는 현시점에서 다시 들여다볼 만하다.

쿠바의 도시농업은 화학비료 대신 바이오농약과 가축활용 경작법 등 지역의 자원을 활용한 유기농법으로 이뤄진다. 이렇게 생산된 농산물은 직거래를 통해 시민들에게 공급돼 주요 도시에서 소비되는 식량의 70%를 담당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수입의존도를 낮추고 식량주권을 이뤄낸 것이다.

쿠바의 경험은 기후위기 시대 지속가능한 도시농업과 관행농업의 유기농업 전환에 있어서도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김정열 비아캄페시나 국제조정위원이 2019년 쿠바에 다녀와서 기록한 ‘쿠바의 농생태학과 그 진전을 위한 방법론’에 따르면 섬나라 특성상 재해에 취약한 만큼 국가 차원에서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있고 그 방법으로 농생태학을 택했다. 농약과 화학비료, 석유에 의존하지 않고도 먹거리의 양과 질이 높아졌으며 농민들은 자부심을 갖고 농사를 짓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