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연구자들, 한자리에 모여 ‘단절된 농촌사회의 연결’ 모색

한국농촌사회학회 하반기 정기학술대회 14일 열려

  • 입력 2025.11.14 18:24
  • 수정 2025.11.14 18:37
  • 기자명 유승현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유승현 기자]

한국농촌사회학회 2025년 하반기 정기학술대회가 14일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열렸다.
한국농촌사회학회 2025년 하반기 정기학술대회가 14일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열렸다.

기후위기와 인구감소, 초고령화 등으로 단절돼가는 농촌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모색하는 학술 논의의 장이 열렸다. 한국농촌사회학회(회장 김기홍)는 14일 서울교육대학교에서 ‘단절과 연결의 농촌사회’를 주제로 2025년 하반기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만져지는 재난으로서의 산불과 농민, 그리고 정신건강 △자치 농촌을 향한 길: 제도적 기반과 자율적 실천 △농촌 마을의 변화와 지속가능성 △‘분산을 넘어 연결로’ 지방소멸의 위기를 넘다 등 총 4개 세션으로 진행됐다.

특히 올해 3월 영남 산불, 7월 강릉 가뭄, 유례없는 전국 가을장마 등 계절마다 농촌지역 중심으로 재난·재해가 반복되며 농민들의 피해가 극심했던 만큼 ‘만져지는 재난으로서의 산불과 농민, 그리고 정신건강’ 세션에 많은 관심이 집중됐다.

한국농촌사회학회 2025년 하반기 정기학술대회가 14일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열린 가운데 이수미 농업농민정책연구소녀름 소장 영남 산불 피해대책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한국농촌사회학회 2025년 하반기 정기학술대회가 14일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열린 가운데 이수미 농업농민정책연구소 녀름 소장이 영남 산불 피해대책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이 세션에서는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교수, 이수미 농업농민정책연구소녀름 소장, 김지민 이화여자대학교 융합보건학과 강사가 발표에 나서 산불·산사태 예방과 피해대책 현황, 기후위기 속 농민과 젠더 중심 정신건강 연구 등 농촌사회가 직면한 위기의 구조적 해법을 논의했다.

이우균 교수는 위험지역을 관리하는 사전 작업 데이터가 포함된 산불 예측 시스템의 실용성을 강조하며, 각 지자체에서 이를 적극 활용해 재난을 예방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수미 소장은 피해 주민 대부분이 농·임업 소득 종사자로, 경제활동 회복을 위한 농업 기반 복구에 수년이 걸려 전소된 주택 재건비조차 당장 마련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에서 현재 재난대책은 저리 융자 지원 등에 머물고 있어 피해 주민의 빚만 늘리는 구조라며, 장기적인 직접 지원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민 강사는 기후 불확실성은 농민의 정신건강을 악화시키고 생계에도 큰 영향을 미치므로, 단일 재해를 넘어 농촌 생활 전반에 작용하는 기후위기의 구조적 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재해예측 시스템 정교화, 인권적 관점 기반 통합 재난대책 마련, 고령자·장애인 등 재난 취약계층 지원 방안 등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김기홍 한국농촌사회학회 회장은 “재난과 재해로 어느 때보다 위기가 컸던 농촌사회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호혜적 관계로 전환하기 위한 활동을 앞으로도 현장에서 계속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