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정신문 권순창 기자]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회장 최흥식, 한농연)가 3일 국회 소통관에서 농림축산식품부 핵심사업 예산 증액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국정감사 종료 후 국회의 초점은 2026년도 예산안 심의에 집중돼 있다. 지난 9월 정부가 지난해보다 1조원 이상 증액한 농업예산안(20조350억원)을 내놨지만 여전히 전체 예산 대비 비중이 작고 농정 전환 의지가 부족하다는 우려로 인해 국회의 세심한 심의가 요구되고 있다.
한농연은 기자회견에서 내년도 농업예산 증액에 일면 긍정적 의미를 부여하면서도 농민들을 위한 실질적 지원책이 부족하다는 점을 특별히 지적했다. 이에 7가지 핵심 정책사업을 뽑아 총액 1242억3400만원이라는 구체적인 증액 요구안을 제안했다.
7개 정책사업은 △농촌고용인력지원 △예비청년농업인지원 △조사료생산기반확충 △농기계임대 △무기질비료 가격보조 및 수급안정 △농가사료직거래활성화지원 △가축방역대응지원이다. 농가사료직거래지원(500억원)·무기질비료지원(372억원) 등 현장 수요가 높은 정책들에 가장 많은 증액을 요구했으며, 무기질비료지원(372억원)·예비청년농업인지원(126억6000만원) 2개 제안은 정부 예산안에서 누락한 것을 신규 요구한 것들이다.
최흥식 한농연 회장은 기자회견문에서 “농업경영비가 지속 상승하며 농가경영 불안이 심화하고 있음에도 주요 생산비 지원사업 예산은 반영되지 않거나 축소했다”라며 “새 정부 핵심 과제 중 하나인 물가 안정, 그중에도 민감도가 높은 식탁 물가를 잡기 위해선 먼저 국산 농축산물의 안정적 생산이 전제돼야 함을 잊어선 안 된다”고 예산 증액을 호소했다.
기자회견엔 임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함께했다. 한농연은 기자회견 이후 임 의원에게 요구안을 전달했고, 임 의원은 “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 국민들도 농업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달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