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에 주저앉은 ‘논콩 재배정책’

“근본적 대책 없는 논 타작물재배, 참여 힘들 것”
농민들, 정부·지자체에 적극적인 피해 대책 촉구

  • 입력 2025.07.24 18:01
  • 기자명 김희봉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김희봉 기자]

집중호우로 물에 잠긴 논콩 재배단지의 모습.
집중호우로 물에 잠긴 논콩 재배단지의 모습.

 

지난 17일 한반도를 강타한 기록적 물폭탄으로 충청남도 내 많은 농민들이 피해를 입었다. 농민들은 복구 작업에 나섰으나 물에 잠겨 죽은 가축과 농작물을 되살릴 길은 없었다. 피해 현장의 농민들은 절망에 빠졌는데, 특히 정부의 논 타작물재배 정책을 따라 논에 콩을 심었던 농민들의 불만이 큰 상황이다.

충남 당진에서는 지난 17일 집중호우로 인한 누적강수량이 377.4㎜에 달했다. 논과 축사가 침수돼 많은 재산피해가 발생했는데, 특히 쌀 감산정책을 따라 애초 배수가 불량할 수밖에 없는 논에 콩을 심었다 막대한 피해를 입은 논콩 재배농가들의 상황이 심각하다.

지난 21일 신평면 상호리 재배 현장에서 만난 박성준 당진해나루콩영농조합 대표는 까맣게 죽은 논콩을 바라보고 안타까워하며 “너무 많은 면적에서 피해가 발생해 외국인노동자들과 다시 심고 있지만, 콩 모종이 얼마 없어 직파해야 하는데 수확량을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박 대표의 영농조합은 총 26ha에 논콩을 심었는데, 박 대표는 개인 피해만 따져도 총 4만평의 논콩 재배면적 중 80%가 침수돼 1억원의 손실을 봤고, 영농조합 전체적으로는 2억원 정도 손실을 보게 됐다고 주장했다.

박 대표는 정부 논 타작물정책의 근본적인 문제가 배수시설이 불량한 논에 콩을 심게 하는 데 있다고 강조했다. 논콩의 경우 대개 배수로가 콩 고랑보다 높아 구조적으로 침수 피해가 클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박 대표는 “앞으로는 논바닥을 높여주고 배수시설을 설치하는 등의 근본적 해결책 없이는 논 타작물재배 정책에 농민들 참여가 힘들 것”이라며 “농가들이 콩 심기 바빠서 재해보험에도 가입하지 못한 상태인 만큼 실질적인 피해 보상 등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라고 주문했다. 논콩 재배 농민 김지환(우강면 공포리 이장)씨도 “다른 농민보다 피해는 적지만 앞으로 이렇게 집중호우가 내리면 배수로 정비와 펌프장을 설치해줘야 논콩 재배를 계속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조소연 당진시청 농정과 논 타작물 담당 주무관은 “당진지역의 논콩 재배 면적 총 524ha 중 440ha가 피해를 봤고, 피해농가 지원은 단순 침수 피해에 농약대금 ㎡당 79원, 전면 피해농가에 대파대 ㎡당 352원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농가당 지원 규모가 최대 5000만원을 초과할 수 없어 논콩 재배 농민들의 실제 피해액에는 훨씬 못 미치는 실정이다.

엄청나 전국쌀생산자협회 정책위원장은 “이번 논콩 재배 농민들의 피해는 이재명정부가 무원칙하게 윤석열정권 쌀 감산정책을 추진해온 송미령 장관을 유임시킨 데서 시작된 것으로 즉각 내란농정을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