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농 “벼멸구 및 폭우 피해 자연재해로 인정하라” 

  • 입력 2024.09.27 16:15
  • 수정 2024.09.27 16:19
  • 기자명 김한수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김한수 기자]

추수를 앞두고 벼멸구가 급속히 확산해 전남, 전북 등에서 큰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23일 전북 순창군 구림면 일대 들녘에서 벼멸구로 인한 피해가 선명하게 보이고 있다.  한승호 기자
추수를 앞두고 벼멸구가 급속히 확산해 전남, 전북 등에서 큰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23일 전북 순창군 구림면 일대 들녘에서 벼멸구로 인한 피해가 선명하게 보이고 있다.  한승호 기자

전국농민회총연맹(의장 하원오, 전농)이 최근 발생한 수해 및 벼멸구 피해와 관련, 자연재해로 인정할 것과 즉각적인 대책 마련을 정부에 촉구했다. 

지난 26일 전농은 성명을 내고 “황금빛으로 물들어갔어야 할 벼들이 생기를 잃고 하얗게 말라가고 있다. 쌀 생산량이 많은 지역에 피해가 집중됐고 확산세도 빨라서 얼마나 피해가 커질지 가늠조차 어렵다”고 설명했다. 

전농은 “정부는 상황의 심각성을 아는지 모르는지 여전히 안일한 대처로 일관하고 있다. 벼멸구 피해 대책으로 내놓은 것은 피해 벼 수매 뿐이다. 그나마도 수매가격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벼멸구 피해 면적은 전남(1만9603ha), 전북(2707ha), 충남(2275ha) 순이며 전국 벼 재배면적의 4% 정도다.

벼멸구 창궐에 이어 폭우 또한 전남을 덮쳤다. 지난 19~21일 300mm를 넘는 폭우가 쏟아져 전남 지역에서 8200여ha 규모의 논에서 벼가 도복(물이 비나 바람 때문에 쓰러짐)됐고 가축 22만 마리가 폐사했다. 

전농은 “이번 피해의 원인은 ‘기후재난’이다. 추석까지 더운 날씨가 이어지는 이상기후로 벼멸구가 창궐했다. 또, 장마도 태풍도 다 지나갔어야 할 9월 말까지 폭우가 쏟아지는 이상기후로 수해가 발생했다. 이번에 발생한 수해와 벼멸구 창궐을 자연재해로 인정해 특별재난지역을 선포하고 적정가격 매입 등 특별대책을 즉각 수립·시행해야 한다”며 “반복되는 재해를 예방할 근본 대책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