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 자급률 향상, 이대로는 공염불이다

  • 입력 2024.08.18 18:00
  • 수정 2024.08.18 20:38
  • 기자명 한국농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밀살리기운동본부(운동본부)가 지난 14일 ‘국산밀 전략작물직불금 현실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운동본부는 정부가 내년부터 밀 재배농가에 1㏊당 50만원인 밀 직불금을 100만원으로 인상하는 방안에 대해 미흡하다고 지적하면서 최소 가루쌀과 동일한 200만원 현실화를 주장했다. 그냥 흘려들을 이야기가 아니다.

밀은 주식인 쌀과 함께 ‘제2의 주식’이다. 2023년 기준 국민 1인당 연간 밀 소비량은 35.7kg으로 쌀 소비량(56.4kg)의 절반을 웃돈다. 쌀 소비량은 1985년(132.7㎏)부터 매년 꾸준히 감소하는 데 반해 밀 소비량은 40여년 동안 평균 약 35㎏ 안팎을 유지 중이다. 문제는 밀 자급률이 너무 낮다는 것이다. 수입 의존도가 높기에 국제 곡물 가격과 수급 변동에 취약하고, 식량안보에 미치는 위협도 그만큼 클 수밖에 없는 궁색한 현실이다.

정부도 밀의 자급 토대를 구축하는 게 시급하다고 보고 2019년 8월에 ‘밀산업 육성법’을 제정했다. 이어 제1차 밀 산업 육성 계획 및 국정과제를 통해 밀 자급률을 2024년 4.2%, 2025년까지 5%로 높이기로 했다. 하지만 성적은 초라하기 그지없다. 정부 비축에 의존해 간신히 자급률을 끌어올리고는 있지만 매년 연도별 목표치를 크게 밑돌고 있다. 8만톤을 목표로 했던 2023년산 생산량 역시 5만여톤(자급률 2.2%)에 그쳤다. 농식품부는 1차 목표를 달성한 후, 제2차 기본계획(2026∼2030년) 기간 내 10%를 달성할 계획을 밝혔는데 현재 추세라면 어불성설이다.

운동본부는 1차 기본계획의 마지막 5년차를 앞둔 현재 밀 자급체계의 핵심이 되는 생산환경의 개선과 함께 소비대책 마련도 촉구했다. 밀 소비 진작을 위한 방안으로 학교급식 국산밀 소비 정기화를 제시했다. 학교급식으로 소비되는 수입 밀가루 중 주 1회만이라도 이를 국산밀로 대체할 경우 학생 1인당 약 100원의 추가 비용으로 연간 2만1962톤 소비가 가능하고, 영역을 공공급식까지 확장하면 연간 3만3965톤까지 확대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밀 수입의 자유화와 국산밀 수매제도의 폐지로 무너져버린 우리밀 자급률 회복을 위해서라도 의미 있는 방안으로 보인다.

밀 자급률이 0.02%까지 떨어진 1991년 창립하여 지금까지 사라진 밀밭을 되살리고, 우리 농촌과 밥상을 살려내기 위해 노력한 우리밀살리기운동본부의 간곡한 호소다. 정부는 제발 흘려듣지 말고 전향적인 자세로 수용하기 바란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