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특집] 농촌진흥청이 준비 중인 기후위기 대책 … 어떤 것이 있을까

2027년까지 1,919억원 들여 추진

품종개발·새 재배법 등 연구진행

  • 입력 2024.01.01 00:00
  • 수정 2024.01.05 09:28
  • 기자명 김한수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김한수 기자]

국내 온실에서 망고를 수확하는 모습. 농촌진흥청 제공
국내 온실에서 망고를 수확하는 모습. 농촌진흥청 제공

 

이상기후 상시화로 지구가 몸살을 앓고 있다. 전국각지에서 저온, 호우, 태풍, 폭염 등 다양한 이상기후현상이 발생했고 그 피해는 농업이 고스란히 감수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대책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 농진청)은 닥쳐올 기후위기에 대비해 ‘예측’, ‘적응’, ‘대응’, ‘완화’ 4가지 분야에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가장 먼저 ‘예측’ 분야에서 국가고유계수 개발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을 실시한다. 또한 기후변화 실태조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작물 예측모형도 개발한다고 덧붙였다.

2022년 기준 국가고유계수는 48종(경종 32, 축산 16)이 등록돼 있으며, 우리나라 농업환경을 반영해 2050년까지 64종을 누적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국가고유계수는 온실가스를 줄이는데 어떤 근거로 감축했는지 측정하고 평가하는 기준이다.

또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벼·콩·옥수수·사과·배·마늘·인삼 등 작물 33종의 재배적지 변동을 예측한다. 2017년부터 매년 기후변화와 이상기상 등 지표별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5년단위로 기후변화 영향과 취약성을 별도로 평가한다.

둘째 ‘적응’ 분야에는 변화한 기후에 적응할 품종육성 및 재배법 개발 등이 있다. 2022년 기준 고온과 일조부족, 병·해충에 강한 품종 318종을 개발했다.

재배법으로 농진청은 권역별 적정 작부체계를 개발 중이다. 권역별로 변화하는 기후에 적응할 수 있는 2·3모작과 2기작 체제를 개발하고 작물별 적정 파종·관리 수확시기를 연구하는 것이다.

열대·아열대 작물 유전자원 도입 및 재배기술 개발도 진행한다. 생육기간과 재배한계지 북상 등을 고려해 2027년까지 15작목 이상 국내에서 재배가 가능케 하겠다는 계획이다.

셋째 ‘대응’ 분야에 대한 연구도 진행한다. 기상재해 조기경보 서비스와 피해경감 기술개발 등이 있다.

조기경보 서비스는 2019년 24개 시군에서 실시하기 시작했으며, 단계적으로 확대 실시하고 있고 이를 2025년까지 전국으로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이와 함께 재해 예측정확도 개선작업을 통해 정확도를 85%까지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고온기 작물재배와 가축사육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돕는 시스템도 있다. 예를 들어 포그냉방시스템과 공기순환팬 등으로 축사·온실 내 주간기온을 6~7도 정도 낮출 수 있다. 또한 고온으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가축을 위해 온실 내 온도 하강기술 개발도 진행한다.

넷째 ‘완화’ 분야와 관련, 농진청은 농축산업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연구과제들을 수행 중이다. 먼저 경종을 보면 △논물 얕게 걸러대기 확대 △자동물꼬시스템 개발 △적정비료 사용기준 확대를 통한 질소비료 사용량 감소 △바이오차 투입 등을 제시했다. 바이오차는 목재·왕겨·가축분뇨 등을 숯 형태로 만든 물질로 토양개량제로 쓰인다. 최근 이산화탄소 감축효과가 뛰어나다는 가축분뇨가 특히 주목을 받고 있다.

축산에서는 탄소배출 감소를 목적으로 한우사육 기간을 31개월에서 28개월로 단축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반추가축의 소화과정에서 나오는 메탄가스를 줄이기 위해 저메탄 사료 개발 및 저단백질 사료 급여기술 등도 연구 중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