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정신문 강선일 기자]
아이쿱생협 조합원들 사이에서 범 아이쿱 조직의 ‘불공정 경영, 비민주적 운영’ 문제를 거론하며 아이쿱의 정상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최근 제기되고 있는 △권한 없는 인사의 조직 경영 관여 △조합원 대상 주식 강매 압박 △조직 내 문제점 거론 조합원 대상 탄압 △경영 악화 논란 등에 대해 아이쿱 측이 명확히 소명하고, 현재 아이쿱의 문제를 민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취지다.
반면 아이쿱생협연합회·자연드림생산기업협동조합 등 범 아이쿱 조직의 현재 운영 주체 다수는 조합원들의 이러한 목소리에 대해 ‘횡령·배임 등 비위행위자들의 허위사실 유포’라며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 중이다.
지난 10일 충북 괴산군청 브리핑룸에선 아이쿱 생산자·소비자 조합원 및 전직 아이쿱 출신 인사 등이 모인 ‘아이쿱 불공정경영 대책위원회(대책위)’가 ‘아이쿱생협 정상화를 위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괴산은 아이쿱의 핵심 사업단지 중 하나인 괴산자연드림파크 소재지다.
대책위는 2017년 아이쿱생협연합회 최고경영자(CEO)직에서 물러났던 신모 씨가 사임 이후에도 결재권자 역할을 하거나 세이프넷(범 아이쿱 조직 차원에서 꾸린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소속 각 사업체 대상 지침을 하달하는 등 아이쿱 조직 내 비선실세 노릇을 해 왔다고 강조했다. 대책위가 제공한 2019년 아이쿱생협연합회 결재문서 상에선 2년 전 퇴임했던 신씨가 여전히 결재권자로 이름이 올라있는 상태였다.
대책위는 이와 함께 아이쿱생협연합회에 의한 아이쿱 생산자·노동자·소비조합원 대상 주식 강매(아이쿱 관련 비상장 기업 주식 매수) 문제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아이쿱 측으로부터) 여러 압박을 받은 생산자·노동자는 대출을 받아서까지 주식을 매수할 수밖에 없었고, 개인적 사정으로 주식을 처분하려고 해도 주식 처분은 제때 이뤄지지 않았”으며 “퇴사한 경우에도 주식을 처분받지 못하는 사례가 속출했다”는 게 대책위 측의 주장이다. 이와 함께, 아이쿱 생산자들을 향한 생산 대금 지연 문제도 거론되고 있다.
대책위는 그밖에도 아이쿱 내외의 수많은 논란이 있었음에도 아이쿱 운영 주체들이 문제를 거론한 이들(조합원, 노동자, 언론 등)을 억누르려는 행태가 비민주적이라고 비판하며, 아이쿱 측에 △대책위와의 대화 및 공개 공청회 개최 △조합원 출자금 및 차입금 보호 위한 즉각적·구체적 조치 실시 △권한 없는 인사의 경영의사결정 방지 위한 조치 실시를 촉구함과 함께, 공정거래위원회 측엔 아이쿱생협의 불공정·비민주 경영에 대한 전면 조사 실시 및 책임자 처벌 조치를 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아이쿱생협연합회 등 범 아이쿱 조직의 현 운영주체 및 이들과 뜻을 같이하는 생산자·소비자 조합원들은 같은 날 오후 같은 장소에서 대책위의 주장에 반박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비대위 측 관계자들이 과거 아이쿱 각 조직에서 근무할 시 부실경영 또는 횡령·배임 등의 문제로 불명예스럽게 퇴직하고선 조합원을 ‘참칭’하고 있다며, 자신들의 비위 행위를 감추며 아이쿱 조직 전체를 공격하는 조직적 왜곡 주장을 펼치고 있다고 반박했다.
아이쿱 측은 “아이쿱생협의 회계는 투명하고, 비위 혐의자들에 대한 조사는 이미 진행 중이며, 비대위의 주장은 개인의 책임을 조직의 책임으로 돌리려는 왜곡행위”라며 대책위에 맞서 ‘공동대책위원회’를 결성해 거짓선동에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이들은 대책위가 기자회견을 열던 동안 괴산군청 입구에서 맞불집회를 열기도 했다. 맞불집회 참가자들은 ‘조합원 참칭 금지’, ‘허위사실 유포 중단’ 등의 구호가 적힌 펼침막을 들고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