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정신문 한우준 기자]
지난 2015년 11월 10일 제주 제2공항 건설계획이 세상에 나왔다. 그로 인해 망가질 제주의 농업과 마을 공동체, 자연을 지키려는 농민들이 국가계획에 맞선 지도 10년이 흘렀다. 도내에서 제2공항을 함께 반대하는 다른 이들과도 또 다르게, 농민들은 ‘생존’을 위해 싸운다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이들은 투쟁 10년을 맞아 제2공항의 무산만이 농사를 존속할 수 있는 최선의 길이라 믿고 앞으로도 계속 싸워나가겠다고 천명했다.
전국농민회총연맹 제주도연맹(전농 제주도연맹)과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제주도연합(전여농 제주도연합)은 제주 제2공항 반대투쟁 10년을 맞아 지난 10일 제주도청 앞에서 제주농민대회를 열었다. 이날로부터 10년 전인 지난 2015년 11월 10일은 국토교통부가 제주 제2공항 건설계획을 담은 ‘제주 공항 인프라 확충 사전 타당성 검토 용역’의 결과를 발표하며 개발을 공식화했던 순간이었다.
대회에 앞서 농민들은 제주 성산읍 광치기해변 인근에서 집결해 제주 성산에서 제주 시내에 이르는 차량시위를 벌였다. 김미랑 전여농 제주도연합회장은 출발 전 “농민들의 생존을 보장해 달라”라며 “이 땅을 지키기 위해 지치지 않고 앞으로 10년이라도 더 싸워 제2공항을 반드시 막아낼 것”이라고 다짐했다.
행렬은 일주동로를 따라 제주로 향하는 가운데 종달, 세화, 김녕 등 경로에 있는 주요 마을을 들르며 선전했다. 공항을 함께 반대하는 제주 서쪽 농민들도 같은 시각 대정읍에서 출발해 농기계와 트럭을 몰았고, 트랙터 5대를 포함해 50대에 이르는 차량이 도청 앞에 집결했다. 농민대표자들이 상복을 입는 가운데 농민들은 차량시위행렬 가장 앞에 세웠던 상여를 도청에 내려놓고 농민대회를 시작했다.
김만호 전농 제주도연맹 의장은 “3.2km 활주로와 옆이 전부 농지다. 과수원이고 밭이고 곶자왈인 이 땅이 개발된다면 농민들은 농사지을 땅이 사라진다. 가난한 농민들이 어디 가서 농사를 짓는단 말인가?”라며 “그 현실을 제주도정이 알고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오로지 미친 개발의 광풍에만 ‘올인’하는 개발 중심주의 정책은 이제는 버려야 한다”라고 호소했다.
박찬식 제주제2공항저지비상도민회의 공동집행위원장은 “2015년 오늘 11월 10일 국토부가 제2공항을 건설하겠다고 하면서 올해까지 제2공항을 완공하겠다고 했지만, 여러분들의 투쟁으로 우리 도민들과 함께 우리의 땅을 지켜냈고 제주의 자연과 공동체를 지켜냈다”라며 “제주의 농민들, 제주의 도민들, 제주의 자연이 결코 제2공항에 들어서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지속가능한 제주, 아름다운 제주, 행복한 제주의 미래를 여는 위대한 도민 승리의 역사를 반드시 만들어 나가자”고 독려했다.
농민들은 성산에서부터 실어 온 상여를 매고 도청 출입구까지 행진하며 반대 구호를 외친 뒤 대회장에서 이를 불태우는 것으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전농 제주도연맹와 전여농 제주도연합은 결의문에서 “이 기나긴 투쟁 속에 대한민국 정부와 제주 도정은 없었으며, 제주가 죽어가든 말든 그들의 잇속을 챙기기에 혈안이 돼 있었다”라며 “우리 농민들은 여기에 굴하지 않고 그들과 맞서 당당히 싸워왔고, 앞으로도 끝까지 싸울 것이다. 그것이 농민 생존을 위한 최선의 길이기 때문”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