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농산물’ 넘어 ‘농식품’으로…친환경가공산업 미래 바라본다

김도준 한국친환경농업협회 친환경가공준비위원장

  • 입력 2025.11.09 18:00
  • 수정 2025.11.09 22:45
  • 기자명 김하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김하림 기자]

김도준 한국친환경농업협회 친환경가공준비위원장
김도준 한국친환경농업협회 친환경가공준비위원장
우리는 신선식품보다 가공식품에 더 많은 돈을 쓰며 살아간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식품 소비지출 비율은 신선식품 22.4%, 가공식품 27.6%이었다. 그러나 정작 친환경가공품 시장은 그동안 정책이나 관심에서 소외돼왔다. 업계에서 추산하는 국내 친환경가공품 시장 규모는 연 5000억원 내외로, 친환경농산물 시장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에 친환경가공산업을 육성하고자 한국친환경농업협회 친환경가공위원회가 출범한다. 친환경가공준비위원회는 다음달 중 발기인대회를 열고 정식으로 조직을 발족할 예정이다. 출범에 앞서 지난 4일 세종특별자치시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회의실에서 김도준 친환경가공준비위원장을 만났다. 김도준 준비위원장은 충북 영동군 소재 친환경농산물 가공전문업체인 옥잠화영농조합법인의 대표로 지난 30년간 친환경가공품을 생산해왔다.

친환경가공위원회를 만든 이유가 궁금하다

친환경가공품은 산업이라고 불릴 만큼의 조직과 규모를 갖고 있지 않다. 한국친환경농산물가공생산자협회가 있긴 하지만 실질적으로 결집력이 떨어졌다. 그래서 친환경가공위원회를 만들어 이러한 문제를 함께 해결해 보자고 한국친환경농업협회에 제안했다. 또한 새 정부가 들어섰는데, 이때 친환경가공산업의 제도적 기반을 다지는 조직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현재 준비위원회의 주축은 한국친환경농업협회·한국친환경농산물가공생산자협회·한살림가공생산연합회·두레생산자회 등이다.

친환경가공위원회는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하게 되나

친환경가공산업이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발굴하고 정부에 제안하려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친환경가공위원회가 친환경가공품 생산자들을 결집하는 역할을 하게 되리라는 점이다. 생산자조직이라는 실체가 있어야 정부도 이를 바탕으로 정책을 추진할 수 있을 것 아닌가. 우선 국산 친환경농산물 위주로 취급하는 가공업체 100곳을 친환경가공위원회에 합류시키는 것이 목표다. 또한 당장은 어렵겠지만 자조금을 조성하고 친환경농산물자조금과 통합해 이를 바탕으로 홍보 사업까지 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

친환경가공품 시장이 중요한 이유가 무엇인가

이재명정부는 ‘친환경유기농업 면적 2배 확대’를 국정과제로 내세웠다. 그러려면 친환경농산물 소비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친환경가공품 시장이 동반 성장해야 친환경 인증 면적과 생산자가 늘어난다. 친환경가공품 시장이 뒷받침되면 농민들도 과잉 생산 걱정 없이 마음껏 농사지을 수 있다. 가공품과 농산물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그래서 우리는 ‘가공은 우리 농업의 또 다른 이름’이라고 말한다.

친환경가공품 시장은 어떻게 나아가야 한다고 보나

정부의 친환경농업 정책은 대부분 친환경농산물 위주다. ‘농산물’을 넘어 가공품을 포함한 ‘농식품’을 기본으로 잡고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먼저 공공급식 분야에서 친환경가공품에 문호를 넓혀줬으면 좋겠다. 학교급식의 경우 학교가 친환경농산물을 선택하면 지자체가 그 차액을 지원해주지만 친환경가공품에는 이러한 지원이 없다. 공공급식에서 친환경가공품을 의무 구매하도록 하는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친환경 포장재 등 비식용 가공품에 관한 예산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