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개혁, 이것만은 알고 갑시다④] 마진

  • 입력 2025.07.27 18:00
  • 수정 2025.07.27 19:44
  • 기자명 이용희 전국농민회총연맹 협동조합개혁위원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용희 전국농민회총연맹 협동조합개혁위원장
이용희 전국농민회총연맹 협동조합개혁위원장

비슷해 보이지만 마진율과 이익률은 엄밀히 따지면 다른 개념이고 결과도 전혀 다릅니다. 농협을 운영하거나 상품을 판매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마진(margin)’입니다. 마진을 잘 이해하고 관리해야 수익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마진이란

제품을 판매했을 때 남는 이익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매출에서 비용을 제외하고 남는 금액을 뜻하죠. 마진을 계산할 줄 알아야 제품 가격을 적절히 설정하고, 사업이 이익을 내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마진은 두 가지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마진 금액(이익) 계산법

마진(이익) = 판매 가격 - 원가

마진율(%) 계산법

마진율 = ((판매가격-원가) / 판매 가격) x 100

예를 들어, 원가가 1만원인 상품을 1만5000원에 판매했다면

마진(이익) = 15000원 - 10000원 = 5000원

마진율 = (5000원 ÷ 15000원) × 100 = 33.3%

이 계산법을 활용하면 농협에서 조합원을 대상으로 판매하는 제품의 수익성을 쉽게 파악 가능합니다.

마진과 이익률의 차이

많은 사람들이 마진과 이익률(profit ratio)을 혼동하는데, 둘은 엄연히 다릅니다. 마진율은 판매 가격을 기준으로 이익이 얼마나 남았는지를 계산합니다. 이익률은 원가를 기준으로 이익이 얼마나 발생했는지를 계산합니다.

이익률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익률 = (마진(이익) ÷  원가 )X 100

예를 들어, 원가가 1만원이고 판매 가격이 1만5000원이라면

이익률 = (5000원 ÷ 10000원) × 100 = 50%

즉, 마진율은 33.3%, 이익률은 50%가 됩니다.

원하는 마진율을 얻기 위한 가격 설정법

판매 가격 = 원가 x (1 - (목표 마진율 ÷ 100))

예를 들어, 원가가 5000원인 상품을 팔 때 마진율 40%를 목표로 한다면 8333원 이상으로 판매해야 합니다.

키워드
#마진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