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소규모학교, 통폐합 말고 지속가능한 대책 찾아야

학교 간 통폐합 … 농촌마을 소멸 우려

지역사회 협조·특성화 교육 필요

  • 입력 2021.07.18 18:00
  • 기자명 박정연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박정연 기자]

농어촌지역 소규모학교의 순기능에도 불구하고 학교 운영의 이유로 교육 당국에서는 통폐합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통폐합은 학교 운영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아니라는 전문가 의견이 뒤따른다.

지난 5월 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장석웅)은 ‘적정규모학교 육성계획’을 마련키로 했다고 밝혔다. 계획에 따르면 학교 통폐합 기준이 ‘지역민 80% 이상 찬성’에서 ‘예비 학부모를 포함한 학부모 2/3 찬성’으로 완화됐다.

‘적정규모학교 육성 정책’은 초등학교 기준으로 면·도서·벽지지역은 60명 이하인 학교, 읍 단위 이상은 120명 이하인 학교를 대상으로 권고된다. 해당 정책은 △학교 통폐합(동일 학교급 대상) △이전재배치 △분교장 개편 △통합운영학교(학교급이 다른 학교 대상)의 유형으로 운영된다.

소규모학교 통폐합이 골자인 이 정책은 농어촌지역 교육의 해결방안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행한 ‘농촌학교 활성화를 위한 교육모델 개발 및 확산 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소규모학교 통폐합은 통폐합 지원금과 폐교 학생들의 통학 차량 운영 지원 등으로 큰 경제적 효과가 없다. 또 향후 농어촌 소규모학교가 더 줄어들면 통학은 더욱 불가능해 농촌에 거주하기 힘든 상황만 늘어나게 된다.

지난 5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주최한 ‘제1차 KREI 생생현장토론회’에서는 농촌 교육 환경 개선방안으로 지역 특색을 살리고 지역주민과 협력하는 것에 참석자들의 의견이 모였다. 이날 토론회에서 정문수 KREI 부연구위원은 몇몇 선도지역에서 시도하는 지역사회 협력을 통한 △지역 거버넌스 △통학여건 개선 △학부모 및 주민참여 △중간지원조직 및 지역활동조직 역할 확대를 제안했다.

특색있는 교육을 통한 농촌학교의 역할도 강조됐다. 정 부연구위원은 농어촌지역 특성을 살린 △체험형 교육 및 농촌형 전인교육 △농업 환경교육 △유·초·중·고 연계 교육을 통한 지역사회 돌봄 등을 제시했다.

한편, 농촌학교가 지역사회에 학교시설을 개방하는 방안도 제안됐다. 주민들의 지역사회 활동을 위한 구심점 역할을 도모하기 위해서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