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 소비처 확대,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 입력 2023.02.26 18:00
  • 기자명 한국농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요 식량작물 중에서 식량자급률이 가장 낮은 품목은 바로 밀이다. 밀은 주식인 쌀 다음으로 소비가 많은 제2의 주식이지만 99%를 수입하고 있는 작물이다. 값싼 수입밀의 공세 속에서 국산밀 생산은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중요한 식량작물임에도 불구하고 밀을 자급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국산밀의 소비처가 더 폭넓게 확대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2022년 사료용작물을 포함한 식량자급률은 20%대가 무너졌다. 식량주권 실현을 외침에도 불구하고 자급률 향상을 위한 실행이 적극적으로 뒷받침되지 못한 참혹한 결과다. 10년 전인 2013년 우리나라 밀 재배면적은 7,373ha, 생산량은 1만9,061톤이었다. 하지만 밀 재배면적은 2016년 이후부터 꾸준히 감소하다 2020년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밀 재배면적이 가장 적었던 2019년도의 밀 생산량은 1만5,024톤으로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당시에는 대다수 지역에서 밀 생산량이 감소했는데 전국에서 가장 밀 생산량이 많은 전남과 전북의 생산량이 40%씩 감소했기 때문이다.

밀 자급률을 높이는 것은 식량자급률 향상에 가장 핵심이기도 하다. 정부도 그것을 알기에 중장기 식량안보 강화방안에서 2027년까지 식량자급률 55.5%를 목표로 세워 국산밀 생산 확대에 정책을 집중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가 목표로 한 55.5%는 사료용작물을 제외한 자급률로 2021년 44.4%에서 6년간 11.1%포인트 자급률을 올리겠다는 목표다.

최근 농림축산식품부가 시행하는 전략작물직불제는 가루쌀과 함께 밀, 콩의 생산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수입의존도가 절대적으로 높은 밀의 경우 2021년 1.1%인 자급률을 8.0%까지 상향할 계획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지금까지 우리나라 식량자급률은 계속 하락했다. 이 하락세를 증가세로 바꾸기 위해서는 정책 당국의 부단한 노력과 정책 기조의 변화가 뒤따라야 한다.

2019년 당시 밀 생산량이 급감했던 것도 바로 수요의 문제와 연결돼 있다. 빵, 국수, 라면 등 밀가루를 활용한 먹거리는 참으로 다양하다. 대다수가 수입밀로 제조되고 있는 가공식품을 국산밀로 전환시키는 노력을 계속해 나가야 한다. 다양한 가공식품에 국산밀 사용률이 높아지고 공공급식에 국산밀 이용을 확대해 나간다면 밀 자급률 향상의 돌파구가 될 것이다.

올해 생산이 예상되는 밀은 6만톤 정도이다. 생산량이 늘어서 식량자급률이 향상되는 것은 반가운 일이지만 자급률 증가의 기쁨보다 잉여물량 처분에 대한 걱정이 앞서는 것은 여전히 정부의 소비대책이 미흡함을 증명하는 것과 같다. 다행히 올해는 주정용으로 최대 2만톤이 쓰일 예정이라니 과잉문제가 일단락된 셈이다.

생산된 국산밀이 제때 소비돼야 안정적으로 생산량이 확대되고 정부가 목표한 대로 자급률도 향상될 수 있다. 생산과 소비가 함께 증가해야 밀 재배농민이 안정적으로 생산에 전념하고 더 좋은 품질의 밀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국산밀에 대한 실효성 있는 소비증진 대책을 다각도로 마련해야 한다.

국산밀을 살리기 위한 민간의 운동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정부는 민간단체와 함께 우리밀 소비확대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정부는 자급률 제고를 위해 밀의 비축물량을 1만7,000톤에서 2만톤으로 늘리겠다는 방침이지만 이 정도로는 부족하다. 밀 자급률 확대를 위해서는 정부 비축물량 확대, 국산밀과 수입밀의 가격차이 보전, 공공급식에서의 국산밀 소비, 국산밀 홍보 등 어느 하나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