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농, 우리의 미래다

  • 입력 2023.07.09 18:00
  • 수정 2023.07.09 18:12
  • 기자명 한국농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뜨거운 햇살이 내리쬐는 여름의 바깥활동은 위험할 정도로 힘들다. 시원한 에어컨 바람이 있는 곳에는 삼삼오오 사람들이 모여 잠시나마 뜨거운 열기를 식히며 쉬어갈 수 있지만 들녘에선 불가능한 얘기다. 아침부터 숨이 막힐 정도로 뜨거운 날씨지만 농민들은 오늘도 밭에서, 하우스에서 농사를 짓는데 여념이 없다. 아무리 덥고 힘이 들어도 묵묵히 일하고 있다. 그 덕에 국민들은 먹거리 걱정없이 지낼 수 있는 것이다.

많은 수는 아니지만 농사를 지으며 농촌에서 살기 위해 노력하는 청년들이 있다. 부모님이 계신 고향에서 농사를 시작하는 청년농도 있고, 농촌에 전혀 기반이 없지만 용기를 내어 농촌에 살고자 하는 청년도 있다. 농가인구의 50%가 65세 이상인 농촌마을에는 이제 어쩌면 새로운 것에 대한 희망이나 기대보다는 안정적이고 익숙한 일을 더 추구할지 모른다. 아이 울음소리가 사라져버린 마을은 적막마저 감돌고 이대로 가면 지역이 소멸돼 버릴지도 모른다는 위기가 전국적으로 팽배해 있는 요즘, 청년은 마을의 활기이자 희망이 된다.

마을을 살리고 농촌경제를 되살리기 위해서는 새로운 변화가 필요하다. 여기에 핵심은 바로 사람이다. 각 지자체마다 인구를 증가시켜 지방소멸을 막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 귀농·귀촌에 대한 다양한 정책도 그렇고 청년농 정착 지원사업도 그러하다. 하지만 야심차게 시작했던 사업들은 지속가능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기획의도는 좋았으나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 너무 많은 제약들이 실제 청년들의 삶과는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자신들의 권력 유지를 위해 청년을 도구화해버리는 경우, 사용처 하나하나 감시하는 듯한 지원정책 등은 용기를 내서 농촌에 온 청년농을 다시 떠나게 만든 원인이 되지 않았을까. 귀농·귀촌의 인구가 줄어들고 농촌에 들어왔던 청년들이 다시 떠나고 있다는 것은 참으로 심각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청년은 청년의 생각과 기준이 있는데 기성세대의 눈높이에서 그들을 옥죄며 틀에 맞추려 했던 것은 아닐까. 현재 청년농민정책이 제대로 청년을 위하고 있는지를 다시금 검토하고 평가해 볼 필요가 있다.

청년농민 육성을 위한 대표 정책인 ‘청년창업농 영농정착지원금’은 아무 기반도 없고 새로운 시작이 막막한 청년들이 당장 농촌에 정착하는데 일정 정도 도움이 된 정책이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제도 초반 여러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그래도 그나마 청년들에게 단비가 되어 준 지원이었다.

청년농의 관심은 과거 농민들의 모습과는 다를 것이다. 하지만 모든 청년농이 수억원을 투자하는 스마트팜 창업을 바라며 농촌에 들어오는 것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청년의 관점에서 그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한 꼼꼼한 조사를 통해 정책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가 세운 기준을 내세워 그대로 따르기를 청년에게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원하는 청년을 위한 정책을 펼쳐야 한다.

농민은 고령화되고 있고 농민과 함께 일할 농업노동자도 너무나 부족한 것이 현재의 농업현실이다. 외국인노동자에 의존하는 방식이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것도 증명됐다. 그렇다면 대안은 농민을 더욱 적극적으로 육성하는 것이다. 윤석열정부가 내건 ‘청년농민 3만명 육성’이 단지 구호에 머무르지 않도록 더욱 적극적으로 청년들을 존중하고 포용해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