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특집 - 이제는 친환경이다] 친환경농업이 핵심 농정으로 자리잡는 원년으로

[기고] 김영재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회장

  • 입력 2022.01.01 00:00
  • 수정 2022.01.06 09:51
  • 기자명 김영재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회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기고_ 김영재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회장]

김영재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회장
김영재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회장

새해를 맞이하며 영농 계획을 세워본다. 어떤 작물과 품종을 선택, 재배할 것인가 고민한다. 가장 고민되는 것은 무엇보다도 자연재해에 강하면서 소득이 담보되는 작부의 선택이다. 영농 경험을 최대한 동원하여 설계해보지만, 선택의 여지가 그리 많지 않다. 이러한 고민은 단지 나만의 문제가 아니며 동시대의 모든 농민이 겪고 있는 일이 아닌가 한다.

30여년의 짧은 영농 경력이지만 몇 해 전부터 작부 선택에서 자연재해를 가장 심각하게 고민해야 하고, 실질적인 보상에도 한참 못 미치는 농작물재해보험 가입도 어쩔 수 없는 필수 사항이 되어 버렸다.

이런 상황을 초래한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일까 곰곰이 생각해본다. 모두가 이구동성으로 인간들이 무차별적으로 파괴한 자연환경이 주는 재앙이라고 한다. 기후변화를 넘어 기후위기 시대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온실가스로 지구가 뜨거워지면서 생기는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인류의 종말이 올 수도 있다고 하니 심각한 문제임에는 틀림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문제가 되는 온실가스의 배출원은 줄이고 배출된 온실가스는 포집, 저장하는 방법 외에는 달리 방법이 없다. 많은 전문가들이 온실가스를 포집, 저장하는데 있어서 자연 순환 방식으로 산림과 토양만큼 훌륭한 장치는 없다고 한다. 산림을 잘 가꾸고 토양을 건강하게 관리하는 것이야말로 위기의 지구를 살리는 길인 것이다.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1%만 높여도 1ha당 25톤의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 때부터 시작되어 온 관행적 수탈농법으로 인해 한국의 농지 유기물 함량은 대략 2%가 넘질 않는다. 훌륭한 유기농지로 인정받는 기준인 유기물 함량 5%까지 높인다면, 국내 농업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상쇄하고도 남는다.

농업과 먹거리 분야에서 온실가스 배출원을 줄이는 방법은 첫째, 지역산 농축산물 소비를 확대함으로써 수입으로 발생하는 먹거리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 것이며, 둘째, 영농현장에서의 투입재(수입에 의존하는 화학비료, 농약)는 줄이는 대신,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땅심을 살리고 생물다양성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생산 방식을 전환해야 한다. 바로 친환경농업(유기농업)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대목이다.

이미 EU의 ‘농장에서 식탁까지 전략’과 일본 ‘미도리(녹색) 식량계획’, 그리고 농지 유기물 함량을 매년 0.4%씩 올리자는 ‘0.4 이니셔티브’와 미국의 ‘건강한 토양 만들기 프로그램’에서 탄소중립 실현 전략 핵심에 친환경농업(유기농업)이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의미있게 보아야 한다. 2022년은 갈수록 위축되어 5% 남짓에서 머물고 있는 친환경농업이 한국 농정의 핵심으로 자리 잡는 원년이 되길 기원해 본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