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부 늘수록, 기후위기 극복할 ‘다원적 가치’ 확산될 것”

[인터뷰] 김진덕 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 대표

  • 입력 2021.05.14 12:55
  • 수정 2021.05.14 13:39
  • 기자명 한우준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한우준 기자]

 

도시농업 운동에 참여하는 전국 시민단체들의 연합체 ‘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의 김진덕 대표는 도시를 경작하며 위기를 극복한 쿠바 ‘아바나’시의 사례를 접한 것을 계기로 전국 최초로 인천에서 도시농업 운동을 시작했다. 지난 2007년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를 만들고 지금껏 ‘다원적 가치’ 중심의 도시농업 확산에 기여하고 있는 김 대표에게 기후위기 시대 ‘도시농부’의 중요성 그리고 그 양성에 필요한 과제를 물었다.

기후위기 시대 ‘도시농부’, 왜 중요한가.

인류는 100년이 넘는 동안 화석연료에 의존해 고도성장과 삶의 질을 얻었지만, 한편으론 자연을 훼손하는 삶의 방식에 익숙해졌다. 지금의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의 커다란 정책도 필요하지만 국민 개개인의 사고와 삶의 방식을 전환하는 것 역시 상당히 중요하다. 포기하고, 내려놓고, 자연친화적으로, 느리게 사는 것, 즉 시민들의 ‘기후감수성’이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의식주인데 농업은 그중 식을 담당한다. 자연친화적 생산이 어떤 것인지·농산물이 어떻게 유통되는지·어떤 방식으로 먹거리를 소비하는지·또 남은 것은 어떻게 폐기하는지 등, 도시농업에 참여하면 농업에 대한 전반적 인식이 높아짐과 더불어 자연스레 삶의 양식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본격적인 도시농업 운동이 시작된 지도 10년이 넘었다. 그간 운동가들이 그 가치의 확산을 위해 애쓴 부분을 자랑한다면.

진정한 형태의 도시농업은 행정 칸막이에 좌우되지 않는 시민단체의 자율적 활동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도시농업에 있어 ‘시민주도형’이란 성격이 중요한 이유다. 그동안 우리는 여성농민회와 함께 토종종자를 발굴해 전파·보급했고, 퇴비 자가생산과 빗물활용 등 자원순환을 실천하는데도 힘썼다. 공동텃밭·공유부엌은 도시 내 공동체 형성에도 기여했다. 물론 도시 속 텃밭 공간(경작면적)은 아직 적지만, 꼭 주말농장이 아니더라도 도시농업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길이 열려 있다. 이는 지난 10년 동안 도시농업 시민단체들이 애쓴 부분이다.

 

도시농업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이 있다. 특히 아직도 농촌과의 융화가 어려운 것 같은데.

아직도 도시농업에 대한 농촌의 부정적인 시각을 자주 느낀다. 도시농업을 생산물이라는 요소에 한정해 경쟁상대로만 보기 때문인 것 같다. 농촌사람은 생산자, 도시사람은 소비자라는 이분법적 사고방식이 계속돼선 도농상생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 도시에서 길러먹으면 판로는 어떡하느냐는 말까지도 듣는데, 모두가 알다시피 사실 우리 농촌의 더 큰 적은 농산물 수입 그리고 인구 소멸이다. 오히려 농민 다수가 과연 자신의 생산물에 농업의 다원적 가치를 담고 국민을 만나고 있는지 되묻고 싶다.

더 큰 틀에서, 새로운 농민을 어떻게 유입할 것인가 바라볼 때 도시농업은 농업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분명하다. 도시농부의 층이 두터워지면 귀농·귀촌의 확산뿐만 아니라 농업에 대한 국민적 지지나 공감 또한 커질 수 있고, 이는 결국 농업의 새로운 정책기반으로 발전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도시농업 정책 또한 대다수는 다원적 가치 확산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보단 주말농장이나 텃밭활동에 그치고 있는 점도 아쉽다. 농업이나 기후위기, 공동체에 대한 관심은 적고 그저 경작과 수확 중심의 활동만을 우선하고 있다.

 

그렇다면 정책적 접근 방향은 어떻게 달라져야 하나.

무엇보다 패러다임을 바꾸려는 시각이 필요하다. 농민뿐만 아니라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영위하려는 시민들, 도시농부, 귀농·귀촌을 준비하는 사람들도 모두 농업의 이해당사자에 포함된다. 농가 인구가 200만명을 겨우 넘는 상황에서 농업정책의 수혜자가 훨씬 늘어난다면, 즉 농정의 패러다임을 ‘국민농업’으로 전환한다면 우리 농업은 더 큰 힘을 낼 수 있다. 국민식생활교육, 공동체지원농업(CSA), 식량자급률 법제화 등 행정칸막이로 나뉘어 있는 기후위기 극복 정책들을 국민농업이라는 이름으로 통합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