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경축순환 주체 될 사회적기업 만들어야”

주민발의로 저탄소농업 지원 조례 제정하는 방안도 모색

  • 입력 2021.01.17 18:00
  • 기자명 홍기원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홍기원 기자]

경축순환을 뿌리내리려면 지역자원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는 점엔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제 축산부터 경종, 그리고 지역사회까지 만족한 모델을 만들 수 있을지가 관건으로 남았다.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위원장 정현찬, 농특위)는 지난 2019년 12월 지역자원 기반 경축순환농업 활성화 방안을 의결했다. 지역에서 발생된 가축분뇨 등 농림축산 부산물을 우선적으로 사용해 토양에 적합한 양분을 농경지에 공급함으로 농업환경 보전과 농축산업의 안정적인 생산을 도모하겠다는 구상이다.

구상을 현장에서 실현하려면 주체의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 경축순환은 매우 복잡한 관계 속에 추진된다. 농식품부와 환경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을 이해해야 하고 축산과 경종, 그리고 지역사회도 알아야 한다. 그러면서 지속가능성도 확보해야 하기에 별도의 사업체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에 농특위는 중간조직에 대한 지원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강원지역에서 경축순환 컨설팅을 하고 있는 이병오 한바이오 대표는 “사회적기업이 축산과 경종을 잇는 다리가 되고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방식을 만들어야 한다”라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현재 강원도 횡성군에선 한우가 많은 지역상황에 맞는 부숙유기질비료를 만들어 지역농가가 이를 사용하면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이 대표의 설명에 따르면 지자체가 독자적으로 고품질퇴비 인증 사업을 벌이고 고품질퇴비를 사용한 경종농가는 저탄소농산물 인증을 획득해 유통까지 연결하는 시스템 구축이 골자다.

이 대표는 고품질퇴비 사업을 주민참여형 사회적기업이 맡아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내 일자리도 만들고 지자체 지원을 받아 경종농가들이 이를 선택하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퇴비뿐 아니라 액비도 기술적으로 충분히 고품질을 생산할 기술이 있다”면서 “이 사업을 통해 발생한 이익을 주민과 공유하는 방안을 마련해 현장에 적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축산환경학회장인 이명규 상지대학교 교수도 횡성지역에 맞는 경축순환 모델 구상에 이 대표와 머리를 맞대고 있다. 이 교수는 “현재의 친환경농업은 결과물만 인증할 뿐, 토양을 어떻게 관리하는지는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라며 “주민 발의를 통해 저탄소농산물 생산을 지원하는 조례를 제정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교수는 “일본은 지역마다 경종농가들이 퇴·액비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컨설팅을 하는 코디네이터 조직이 있다. 그런데 우린 열심히 퇴·액비를 만들어도 경종농가들이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물어볼 데가 없다. 공동자원화 시설 역시 어떻게 생산할지 알려줄 컨설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명규 상지대학교 교수(왼쪽)와 이병오 한바이오 대표(오른쪽)가 지역단위 경축순환 사업 구상을 논의하고 있다.
이명규 상지대학교 교수(왼쪽)와 이병오 한바이오 대표(오른쪽)가 지역단위 경축순환 사업 구상을 논의하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