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 키우지 않길 바라는 것 같다”

[인터뷰] 홍경표 한국오리협회 충북도지회장

  • 입력 2020.12.06 18:00
  • 기자명 홍기원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홍기원 기자·사진 한승호 기자]

오리사육농민들은 오리를 키워도 문제, 안 키워도 문제인 상황에 몰려 갈팡질팡하는 모습이다. 올인올아웃제 도입으로 사육회전 수가 줄어든데다 겨울철 사육제한(휴지기)마저 참여하면 1년 3회전 사육이 고작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요구에 따라 축사를 현대화 하고 싶어도 불안한 업계상황을 감안하면 섣불리 융자를 늘릴 수도 없다. 홍경표 한국오리협회 충북도지회장을 만나 현장의 분위기를 들어봤다.
 

올해 휴지기에 참여했는가?

올해 처음 참여했다. 주위에 닭농장도 있고 젖소농장도 있어 사료차량이 많이 오간다. 충북이 고병원성 AI 발생도 많고 올해는 유독 발생 위험이 높다고 해서 참여하게 됐다.

휴지기는 양면성을 갖고 있다. 고병원성 AI가 발생하면 수평전파를 막기엔 유리한 면이 있다. 그러나 오리농장은 사육 회전수가 줄어들고 계열업체는 도축마릿수가 줄어들어 운영이 어렵게 된다.

겨울철에 오리를 키우려면 100여개가 넘는 규정을 지켜야 한다. 오리를 사육하면 수시로 검사를 받아야 한다. 검사를 한 번 하면 15㎝ 면봉을 오리의 후두까지 넣는다. 1동에 20마리씩 검사하는데 검사한 오리는 잘 크지도 않고 1~2마리씩은 죽는다. 고심 끝에 올 겨울은 오리를 안 넣기로 했다.

지역 오리농민들의 반응은?

음성군 맹동면 일대는 방역에 더 유리하다고 한 곳에 집중적으로 농장 허가를 내줘 오리농장이 밀집됐다. 방역 때문에 만들어진 밀집지역인데 지금은 100% 휴지기제에 참여하고 있다. 미호천 일대도 다 휴지기에 들어갔다.

올인올아웃제 도입 이전엔 1년에 10회전 이상도 할 수 있었지만 이젠 1년 6회전이 고작이다. 그런데 휴지기제에 참여하면 6회전에서 3회전으로 줄어든다. 오리농민들의 수익이 예전의 반토막도 안 나온다.

계열업체가 많이 어려워지니 사육비가 인하되거나 지급이 밀리는 곳이 많은 상황이다. 오리산업 전체가 어떻게 될지 불확실하니 농가들이 동요하고 있다.

일각에선 휴지기 보상단가가 높다고 하는데?

휴지기는 말이 4개월이지 실은 6개월이라 보면 된다. 그래서 1년 3회전도 하기 힘든 게 현실이다. 그런데 정부 보상은 2회전만 보상한다.

휴지기로 사육 안하고 편하게 돈 받는다면 왜 오리농장이 계속 없어지겠나. 이 지역에선 이제 나만 오리를 사육한다. 오리농장들이 거의 닭으로 넘어가는 추세다. 육계로 전환하려면 환기시스템과 급여기 라인 등 농장시설을 바꿔야 하는데 5억원 가량 투자해야 한다. 그래도 육계로 많이 넘어가는 추세다.

농장 현대화가 필요하다는데?

7년 전에 현대화를 했다. 7년 전엔 10회전 이상 할 수 있었던 때였다. 이제 매년 8,000만원을 갚아야 한다.

투자를 하려면 채산성이 있어야 하는데 오리산업이 지금처럼 불안해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다. 현대화를 하면 휴지기에 참여하지 않아도 된다는 보장도 없다. 정책을 보면 오리를 사육하지 않기를 바라는 것 같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