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축산, 식량주권도 위태롭다

축산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 필요

정부, 축산물 자급 목표 설정해야

  • 입력 2018.10.13 15:47
  • 기자명 배정은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배정은 기자]

축산농가의 위기는 멀지 않은 미래에 식량주권의 위기가 될 수 있다.

축산의 위기는 수입 개방이라는 외부적 요인뿐 아니라 가축분뇨로 인한 환경문제, 냄새로 인한 민원, 질병문제 등 내부적 요인에 따라 사회적 인식이 나빠지면서 심화됐다. 최근 축산농가를 옥죄는 미허가축사 적법화와 지자체의 가축사육제한조례 강화가 축산 인식 악화에 따른 대표적 결과물이다.

자료: 통계청·농림축산식품부
자료: 통계청·농림축산식품부

과거에는 영양분 섭취를 위해 소비했던 축산물은 주식으로 자리 잡았다. 국민 1인당 연간 육류소비량은 1990년 19.9kg이었지만 2015년에는 47.6kg으로 폭증했다.

축산물 소비는 늘었지만 축산물 생산을 담당하는 축산농가의 수는 눈에 띄게 줄었다. 1990년 94만8,328호였던 축산농가는 지속적으로 감소해 2015년에는 10만8,493호만이 남았다.

축산물 소비는 늘어나는데 축산물을 생산할 농가는 사라졌다. 2005년 55만톤에 그쳤던 축산물(소·돼지·닭, 부산물) 수입량은 2015년 97만톤으로 증가하는 등 수입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정승헌 건국대 교수는 “몇 가지 부정적 요인만 가지고 축산 자체를 사회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매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젊은 세대들에게 축산물은 매일 소비하는 주요 식량이다. 축산물은 더 이상 필요에 의해 먹는 특수식품이 아니라는 것”이라며 축산의 위기는 식량안보 차원에서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 교수는 국민들이 축산을 단지 축산물을 생산하는 산업으로만 인식하는 것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조언한다. 축산을 영위함으로서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부분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 덧붙여 이 부분에 있어서는 축산을 단지 축산물을 많이 생산해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업으로만 생각했던 축산관계자들도 스스로 성찰하고 지역사회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국민들의 시각도 중요하지만 정부나 사회도 축산을 어떻게 볼 것인지 새로운 관점을 정립해야 한다. 특히 정부는 축산물의 자급률을 설정하는 한편 농가에도 올바른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식량안보적 측면에서 축산물은 몇 %까지 자급하겠다는 비전을 보여줘야 축산농가도 어느 정도의 사육 규모가 합리적인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