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푸드, 농업·자연·문화·관계 치유할 ‘대안’

2011년 희망을 찾아서 - 로컬푸드

  • 입력 2011.01.03 13:47
  • 기자명 김황수진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이 들썩이고 있다. 초국적 농산물과 저가 수입농산물, 규모화되고 중앙집중적인 대량 유통체계에 대항해 지역에서부터 ‘대안’의 싹을 틔우고 있는 ‘로컬푸드 운동’ 때문이다.

최근 몇 년 사이 로컬푸드는 지역 내의 소규모 사업을 넘어서 민관협력을 통한 제도화 진입까지 폭풍 성장했다. 이는 배추파동 등 불안정한 기후변화 GMO 등 식품안전 문제, 국제곡물가 상승으로 인한 식량안보 문제까지, ‘먹을거리의 위기’와 더불어 농업이 붕괴되고 있는 현실적인 상황과 겹쳐 ‘지역’에서부터의 ‘저항적 요구’에 직면한 것이라 해석된다. 이 면에서는 진화하고 있는 로컬푸드 담론을 짚어보고, 더불어 ‘(주)생명살림 올리’의 사례를 통해 로컬푸드가 담고 있는 ‘희망’과 ‘대안’을 다룬다.

로컬푸드, 농업·자연·문화·관계 치유할 ‘대안’

지난 2010년 11월 25일부터 26일까지 ‘로컬푸드 전국대회 in 원주’가 강원도 원주시에서 열렸다.
이 날 발표된 전국의 30여개 로컬푸드사업·운동 사례를 통해 먹을거리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형성하고, 대안 농업의 희망이 제시됐다.

민관협력 사례부터 자생적인 농민시장, 식생활교육과 학교(공공)급식, 기후변화와 푸드마일 문제, 생산자공동체 (CSA), 식품가공 및 유통분야와 도시농업까지 ‘로컬푸드’의 다양한 개념과 사례를 총망라했다.

박진도 충남발전연구원 원장(충남대 교수)의 말처럼 이제 “로컬푸드가 먹을거리로 이야기를 시작했지만, 먹을거리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수천마일 떨어진 지역의 음식이 아니라 가까운 거리에서 농산물을 공급받음으로써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환경을 지키고자 하는 ‘푸드마일’의 개념, 생산자와 소비자가 돈과 상품이 아닌 믿음으로써 연결되고 더불어 도시민들의 농업에 대한 이해도 높이는 도-농 관계형성의 문제, 또 생산자에게는 지역 내의 안정적인 판로를 열어주고 중간과정을 최소화한 ‘제값’을 제공해 안정적인 소득의 길을 제시하는 문제, 거기에 경제적인 것를 넘어서 안전하고 건강한 먹을거리를 지역민에게 제공한다는 ‘공공’적 책임의식을 높이는 문제까지 포함돼있다.

그 뿐만이 아니다. 사시사철 마트에서 손쉽게 사먹는 음식이 아니라 지역에서 나는 고유의 ‘제철음식’을 통해 자라나는 아이·청소년들이 자연에 대해 가깝게 느끼도록 하는 교육적 차원은 물론, 생산자-소비자를 비롯해 학교·공공기관·사회시설·유통까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문제까지 로컬푸드 운동에 담겨있다.

사라져가는 우리 농업·자연·문화·관계를 치유하고 회복하기 위한 ‘종합선물세트’로써 ‘로컬푸드’는 이미 먹을거리 문제를 넘어 우리 사회가 반드시 쟁취해야 하는 ‘보편적 공공성’의 영역으로 가고 있다.

로컬푸드 전국대회에 참가한 발표자들은 한결같이 ‘지역·농민 주도’여야 하며 ‘공동체적’일 것을 주문한다. 현재 로컬푸드운동은 생산자 조직의 어려움, 소득창출의 어려움, ‘친환경’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현실적 문제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해있다. 이의 해결을 위해 ‘민관협력’이 제기되기도 한다.
이렇듯 전국 각지에서 일어나는 로컬푸드 운동의 실험 속에서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이 계속 요구되고 있다.     〈김황수진 기자〉

<관련기사>

모두를 이롭게 하는 ‘햄버거’의 탄생 - (주)생명살림 올리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