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연구, 자격증 넘어 현장으로”

영농기술보급, 무료에서 산업체로 이전
농업기술실용화재단, 관련 토론회 개최

  • 입력 2009.12.20 22:06
  • 기자명 김규태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동안 농업기술센터를 통해 농업기술을 습득해 온 농민들이 이젠 기업체를 통해 돈을 주고 영농기술을 구매하는 시대가 왔다. 이와 함께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전운성)의 성패가 농진청 연구사업의 새로운 평가기준이 될 전망이다.

실용화재단이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하면서 그동안 제기돼 왔던 농진청 무용론을 잠재울 수 있을지, 아니면 현실적인 연구가 강조되면서 농진청의 기초연구 위축으로 작용할지 농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9월 7일 설립된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 기존의 농업연구를 비판하며 현장과 시장을 강조하고 나섰다. 지난 15일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 양재동 aT센터에서 ‘농업기술 실용화 제고를 위한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농업기술실용화재단 100일을 기념하여 실용화재단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개최됐으며, 한국공학생명연구원 현병환 센터장(한국농업 과학기술성과의 활용도 증진방안)과 농진청 홍성진 평가관리과장(농업과학기술 성과의 실용화 현황과 금후과제)의 기조강연을 중심으로 토론이 진행됐다.

▲ 지난 15일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 양재동 aT센터에서 '농업기술 실용화 제고를 위한 대토론회'를 열고 있다. 이날 토론회에서 전운성 이사장은 농업기술의 거래를 통한 실용화재단의 성공을 다짐했다.

현병환 센터장은 농진청의 백화점식 나눠먹기식 연구를 지양하고 수요자 중심의 목적지향적 연구개발을 위한 다이나믹한 전략·전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3만개의 아이디어가 모여 1개의 개발이 이루어진다”면서 기초연구(풀뿌리연구)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도 안된다고 지적했다.

홍성진 과장은 농진청의 정체성과 관련 농업연구기관으로서의 중요성 강조와 함께 “글로벌시대의 키워드는 융복합”이라면서 그동안 진행 돼 온 농진청의 어젠다시스템을 설명했다. 홍 과장은 그동안 시군농업기술센터를 통해 보급되던 농업기술이 실용화재단 설립과 함께 산업체를 통해 판매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진 토론회는 농업기술의 정부정책화 및 현장활용도 증대방안(좌장 전남대 박노동 교수), 국산 신품종 보급을 통한 종자산업 경쟁력 강화(좌장 국립종자원 김창현 원장), 농식품분야 학술성과 및 지식재산권의 실용화 제고(좌장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현병환 센터장) 등 3개 주제로 나뉘어 진행됐다. 각 분야마다 산업체와 학계 및 현장 농민들이 참여하여 연구성과의 실용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벌였다.

대부분의 토론자들이 농업기술의 실용화를 위해 시장, 현장, 특허, 거래 등을 강조한 가운데 중소농을 위한 국가보급체계를 강조하는 의견이 제기돼 눈길을 끌었다.

이학동 농진청 농촌지원국장은 안성지역 농민들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거봉포도의 당도를 18도까지 올린 사례를 소개하면서 농업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국장은 “우리나라 농민의 대다수는 중소농”이라면서 이들을 위한 국가보급체계를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