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절반, 소득 2천만원 미만

농경연 보고서 78.8%가 농지 소유면적 2㏊ 이하

  • 입력 2009.04.07 13:50
  • 기자명 연승우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촌이주 다문화가정 절반의 연평균 소득이 2천만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오세익)은 최근 발간한 ‘농촌의 다문화가정 실태와 정책방향’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농촌 다문화가정의 78.8%가 농지 소유면적이 2㏊ 이하이고, 평균 농지 소유면적도 1.6㏊에 불과해 영농기반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농촌으로 국제결혼 한 외국여성 절반이 경제적 이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 이주여성들은 국제결혼을 한 이유로 ‘경제적으로 발전한 한국에서 살기 위해서(32.3%)’, ‘본국 가족들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기 위해서(21.5%)’ 등 설문조사 대상 여성의 53.8%가 경제적인 이유를 꼽았다.

이와 함께 농촌거주 여성 결혼이민자는 2만8천2백40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행정안전부가 지난해 5월에 실시한 ‘지자체별 외국인주민 실태조사 결과’ 도농복합시의 농촌인구 비율을 35% 정도로 추정해 계산한 결과이다.

또한 2007년에 결혼한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한국 남자(7천9백30명) 중 40%인 3천1백72명이 국제결혼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남자와 결혼한 외국 여자의 국적별 혼인 건수는 베트남, 중국, 캄보디아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이민자의 남편이 국제결혼을 하게 된 가장 중요한 이유는 ‘혼기를 놓치고 결혼이 어려워져서(54.0%)’, ‘농촌으로 시집오려는 한국여성이 별로 없어서(25.3%)’ 등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78.8%가 현재 결혼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국 생활과 한국생활을 상대적으로 비교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농가의 결혼이민자들 중에서 43.1%가 ‘농사일을 거의 또는 전혀 하지 않는다’고 답했는데, 이것은 입국 초기이거나 자녀 출산시기인 경우가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보고서에서는 농촌의 다문화가정을 위한 주요 정책과제로 ▷다문화가정 관련법의 개선, ▷농촌 다문화가정을 위한 사이버 지원체계 구축, ▷혼인 당사자들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 및 사전 교육 실시, ▷농촌 다문화가정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등을 제안했다.

또 ▷다문화가정 대상 한국어 및 결혼이민자 모국어교육 강화, ▷다문화가정 대상 영농교육의 개선, ▷영농기반 구축 및 다문화 후계세대 육성, ▷농업 관련 산업 및 비농업 경제활동 지원, ▷사회보장에서의 차별 해소 및 사회서비스 확대 등도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연승우 기자〉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