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이 곧 하늘’ 손 한 뼘 크기의 모 심는 오월

  • 입력 2023.05.14 18:00
  • 수정 2023.05.15 06:34
  • 기자명 한승호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상의 풍경을 담은 물그림자 가득한 논에서 이앙기가 속도를 내며 모를 심는 사이 한 여성농민이 논둑에 바싹 붙어 기계 작업이 어려운 곳에 손모를 내고 있다.
지상의 풍경을 담은 물그림자 가득한 논에서 이앙기가 속도를 내며 모를 심는 사이 한 여성농민이 논둑에 바싹 붙어 기계 작업이 어려운 곳에 손모를 내고 있다.
논 갈고 로터리에 모내기까지, 일련의 논 작업 모두를 대행하고 있는 이창호(오른쪽)씨와 같이 일하는 태국인 노동자(가운데)가 양씨로부터 모판을 전달받고 있다.
논 갈고 로터리에 모내기까지, 일련의 논 작업 모두를 대행하고 있는 이창호(오른쪽)씨와 같이 일하는 태국인 노동자(가운데)가 양씨로부터 모판을 전달받고 있다.
양씨의 아내가 손모를 내는 사이 양씨가 모판을 논둑으로 옮기고 있다.
양씨의 아내가 손모를 내는 사이 양씨가 모판을 논둑으로 옮기고 있다.
모내기가 끝난 논을 바라보며 맥주를 마시던 양씨가 미소짓고 있다.
모내기가 끝난 논을 바라보며 맥주를 마시던 양씨가 미소짓고 있다.

[한국농정신문 한승호 기자]

지리산 자락의 유려한 능선, 맑은 하늘과 흰 구름까지 지상의 풍경을 고스란히 물그림자에 담고 있는 논에 모를 심는다. ‘착착착착’ 이앙기의 규칙적이고 경쾌한 소리와 함께 파릇파릇한 모가 논에 심겨 물결에 흔들린다. 논둑과 맞닿아 이앙기가 미치지 못한 곳에선 한 여성농민이 직접 손모를 내고 있다. “심든 안 심든 밥 한 공기 차이”라며 논 구석구석에 손모를 내는 수고로움을 덜했으면 하는 바람에 참견도 해보지만 여성농민은 좀처럼 허리도 펴지 않은 채 묵묵히 모를 잡고 있다. 선선한 바람이 일손을 가볍게 하지만 여성농민의 얼굴엔 땀이 송골송골 맺혀 있다.

지난 10일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의 한 네모반듯한 논에서 모내기가 한창이다. 올해 일흔여섯, 양씨 부부의 논에 이앙기를 끌고 와 모내기를 하고 있는 이창호(49)씨는 ‘산내일꾼’으로 통하는 이다. 논 갈고 로터리치고 모판 준비에서 모내기까지 일련의 논 작업 모두를 대행하고 있다. 같이 손발을 맞춰온 태국인 노동자와 더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태국어까지 습득한 열혈 농사꾼이기도 하다.

오늘만도 예정된 모내기가 다섯 집. 양씨 부부의 네 마지기(800평) 논이 이날 첫 모내기다. 지난달 20일께부터 모내기를 시작해 매일 같이 산내면 곳곳을 누비며 비어있는 들판에 모를 심고 있다. 이씨는 “70~80대 어르신들이 주로 작업을 맡겨 주신다. 산골이라 농지 규모도 작아 논 서너 마지기가 대부분인데 어르신들이 모내기철, 추수철에 한 번씩 쓰기 위해 이앙기, 콤바인 등 비싼 농기계를 구입하기가 쉽지 않다”며 “오래전 어머니께서 추수를 앞두고 콤바인을 불렀는데 논에서 길을 보며 사흘을 기다려도 연락도 없이 기사가 오지 않은 적이 있다. 그때 직접 (농작업 대행을) 해드려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날 모내기를 의뢰한 양씨도 “매년 창호가 잘해주니 논에 오는 건 물이 말랐나 안 말랐나 확인하러 올 때뿐”이라며 “이제 한 사흘 있다가 두세 줄씩 잡고 뜬모도 다시 심고 빈 곳마다 모를 때우면 모내기는 정말 끝”이라고 말했다.

예로부터 농민들은 모내기를 해야 발 뻗고 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모내기는 일 년 농사를 좌우하는 핵심으로 통한다. 모를 다 심고 이앙기가 빠져나온 논을 바라보며 흐뭇하게 미소 짓는 양씨. “술 한 잔 안 먹을 수 없지”하며 그가 종이컵에 부어 마신 맥주 한 잔의 시원함을 어찌 말로 표현할 수 있을까.

오늘의 첫 일정, 양씨 아저씨 논에 모내기를 끝낸 이씨 또한 트럭에 이앙기를 싣고 다음 집으로 이동하며 다가올 가을을 기약했다. “올봄부터 기후가 이상하다고 하는데 큰 재해나 질병 없이 무탈하게 농사가 잘 지어졌으면 좋겠다. 대통령이 (양곡관리)법을 거부할 땐 정말 욕지거리도 해댔지만 농민들에게 쌀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올가을엔 쌀값도 보장받고 농민들도 웃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45년 만에 최대치 쌀값 폭락에 이은 대통령의 양곡관리법 거부권 행사 등 그 어느 시대보다 쌀이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는 사회지만 여전히 농민들은 황량했던 들판을 초록으로 물들이며 이 나라 주식인 쌀 생산을 위해 오늘도 손 한 뼘 크기의 모를 심고 있다. 먹고 살기 위해 밥술 뜨는 이들이라면 이 좋은 봄날, 논일 밭일에 파묻히기를 주저하지 않는 농민들의 땀과 노고를 오롯이 기억해 주기를….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