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정춘추] 단순농작업 혁신 위한 AI 로봇 개발과 보급 필요성

  • 입력 2022.08.07 18:00
  • 기자명 사동천 홍익대 교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동천 홍익대 교수
사동천 홍익대 교수

 

고추, 배추, 무 등 밭작물을 비롯한 과일 수확이나 과수원의 화분수정 작업 등은 단순노동을 투입해야 하는 고된 농작업이다. 기계화하기 어려운 분야이기도 하다.

이러한 분야는 경제성장으로 국민소득이 높아지면서 저임금의 3D 업종으로 전락했다. 물론 인건비도 끊임없이 상승하고 있고, 이로써 농산물가격도 급등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더욱이 기후변화로 인한 생산량 급변까지 겹치면서 농산물 가격은 널뛰기 수준이다. 그 여파는 고스란히 저소득층에게 생존권의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식량가격의 급등으로 아사자도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굶게 될 수도 있는 저소득층을 보호하기 위해 저가로 농산물을 공급해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속가능한 농업과 식량안보를 위해 농업인의 소득을 보장해야 하는 고민에 빠져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세계무역기구(WTO) 허용보조금인 직불금 지급을 통해서 농업인의 소득을 보전해주고 대신에 저가의 농산물가격정책을 펴고 있다. 그런데 보조금 재원이 마련된다고 할지라도 WTO 허용보조금을 무한정 늘릴 수 없기에 딜레마에 빠져 있다. 인건비의 급격한 상승으로 인한 생산단가의 상승에 대응하기 어려운 처지다. 물론 해외 저소득국가로부터 계절적 노동력을 조달함으로써 인건비 상승을 통제하려고 하고 있으나 단순농작업의 인건비조차 일당 14만원을 넘어가는 등 손익분기점을 넘어서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 지속가능한 농업은 고사하고 농업을 포기하는 농업인이 속출하는 현실이다. 대안은 없는 것인가?

우리나라는 농산물 자급률이 23%에 불과한 열악한 상황임에도 정보통신기술(IT) 강국답게 인공지능(AI) 기반의 디지털 농업과 기계화가 비교적 앞선 국가다.

비견할 수 있는 나라로 이스라엘, 네덜란드, 스위스 정도를 꼽을 수 있을 정도다. 그런데 이러한 분야는 논 농업 및 스마트팜을 포함한 하우스 농업 등에 국한된다.

노지의 밭작물 재배의 경우 아직 걸음마 수준이다. 생산량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가뭄을 대비한 빗물 탱크 설치조차 찾기 어려운 수준이다. 고추 수확 등 단순노동을 투입해야 하는 농작업은 여전히 인력에만 의존하고 있다.

물론 사물 인식 능력이 없는 기계화 단계에서는 기계화를 도모하기조차 어려웠을 것이다. 그런데 AI 기반의 로봇 단계에서는 이를 가능하게 한다. 위치 인식, 색깔 및 크기구별, 유연한 작업 동작, 거동기능, 배터리 수명 등 이미 단순 농작업을 대체할 수 있는 AI 로봇이 갖춰야 할 기능들은 개발돼 있다. 이들 기술을 접목시켜 비교적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단순 농작업용 AI 로봇 개발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물론 세부적으로 비용 편익 등 검토해야 할 부분도 있을 것이다. 기술의 진보는 오래지 않아 생산단가를 떨어뜨릴 수 있고, 선도국가는 세계시장을 지배할 수 있다. 눈을 해외로 확대해서 바라본다면 농업용 AI 로봇 시장은 매우 거대할 것이다.

언제까지나 모든 농작업을 인력에만 의존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정부는 식량안보 정책을 포기할 것인가? 농산물 저가공급정책을 포기함으로써 저소득층의 생존권을 포기할 것인가? 무엇하나 버릴 수 없는 정책이다.

농작업용 AI 로봇 개발과 보급은 국가가 선도하고 관련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연계해 정책적으로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 개별기술들의 접목 필요성이 크고, 4.5세대 FA-21 전투기의 개발처럼 일정 규모 이상의 해외 수요처를 발굴해야 하는 사업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농업 및 AI 로봇 농업에 있어서도 세계를 선도하는 그 날이 오기를 기원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