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방역관들 “ASF 위기경보 단계 하향해야”

동물 질병 컨트롤타워 설립 필요성도 강조

  • 입력 2022.07.07 18:37
  • 기자명 한우준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한우준 기자] 

 

일선 방역 현장에서 가축방역관으로 복무하고 있는 수의사들이 3년 넘게 유지되고 있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위기경보 단계를 하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ASF가 야생멧돼지를 주요 매개로 풍토병화 돼 가고 있는 만큼 이제는 농가·방역인력의 피로도를 고려하고, 장기적인 대응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대한공중방역수의사협회(회장 조영광, 대공수협)는 지난 4일 입장문을 내고, 현행 ASF 위기경보 단계가 방역 현실과 동떨어져 있으며 정권이 바뀌었음에도 고위급 정부 공무원들의 탁상행정이 계속돼 국민 불편과 담당 전문 인력의 피로감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ASF 위기경보 단계는 지난 2019년 9월 17일 ‘심각’ 단계로 상향된 이후 3년째 이를 유지하고 있다. 대공수협은 ASF가 아프리카에서 풍토병으로 자리 잡은 점, 스페인·포르투갈에서 이 질병을 완전히 근절하는데 30년 이상이 걸린 점을 생각해볼 때 장기적인 계획을 갖고 대응 정책을 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공수협은 야생멧돼지와 농장의 구분 없이 ASF가 발생하기만 하면 심각 단계로 격상되는 현재의 시스템을 지적하며 “야생 멧돼지에서는 지속적으로 ASF가 발생하고 있다. 미발생 지역 양돈 농장에서 ASF가 발생한 경우에 한해 ‘심각’ 단계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현행 동물 질병 방역 시스템의 한계 또한 비판했다. 야생 동물(멧돼지)은 환경부에서, 가축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담당하니 명확한 컨트롤타워가 없어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는 게 대공수협 측 지적이다. 대공수협은 “2019년 ASF 발생 초기에도 광역 울타리 설치 등 초기 대응을 하는 데에 있어 혼란을 가중하고 국가 예산을 낭비했던 이유”라며 “최근 문제가 된 코로나19, 원숭이두창 등 인수공통감염병까지 아우를 수 있는, 동물 질병 전반에 대한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대공수협은 공중방역수의사 및 수의직 공무원들의 처우개선도 함께 언급했다. 일부 시·군·구청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동물위생시험소 및 농림축산검역본부가 현행 90만원까지 지급 가능한 공중방역수의사 ‘방역 활동 장려금’을 60만원만 지급하고 있다며, 다년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나 ASF의 방역을 위해 역할을 다하고 있는 공무원들에게 합당한 보상이 지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영광 대공수협 회장은 “3년 동안 현실과 동떨어진 ASF 위기경보 단계로 인해 많은 국민과 농장주, 그리고 담당 전문 인력의 피로감이 누적됐다”라고 밝히며 “동물 질병 위기경보 단계의 정립과 통합된 동물 질병 컨트롤타워의 설립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