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회원과 조직 간 소모임 형태로 간부 육성할 것”

김태현 전국농민회총연맹 경북도연맹 의장

  • 입력 2022.04.10 18:00
  • 기자명 김태형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김태형 기자] 

<한국농정>은 전국농민회총연맹 도연맹 신임 의장 인터뷰를 3명씩 988호와 990호 두 차례에 걸쳐 싣는다. 도연맹 신임 의장들은 지난 1월 11일부터 지난달 23일까지 열린 도연맹 대의원대회에서 대의원들의 지지를 얻어 선출됐다. 앞으로 2년간 도연맹을 이끌어갈 새 수장들의 목소리를 통해 산재한 농촌 지역 문제를 드러내고, 이와 함께 당찬 각오를 지면에 기록했다.

 

농민운동에 뛰어든 계기는.

25년 전 당시에는 농자재 구매 자체가 외상구매 형태였다. 마진율이 엄청 높았다. 가까운 친구들과 공동구매를 추진했다. 그때 청송군농민회가 사업으로 해보면 어떻겠냐는 제안을 했다. 그때가 시작이었다. 청송군농민회 경제사업부에서 8,500원짜리 원예용 상토를 회사와 직거래로 3,000원에 구매해 3,300원에 공급했다. 그걸 사겠다는 사람들이 다 회원으로 등록하면서 침체기에 있던 청송군농민회 5개 지회가 부흥하게 됐다.

경북지역 농업 현안은 무엇인가.

경북도지사는 경북을 농도라고 말하지만 타도에 비해 생산·가공·유통 인프라가 부족하다. 또, 다른 시·도를 보면 기술센터 한 곳에서 특허 200개를 보유한 것에 비해 경북농업기술원의 특허비율은 형편없다. 특별 부서를 만들어도 시원찮을 형편에 정치 잣대로 도정이 운영되는 것 아닌가 싶다. 현장과 도외시되는 게 가장 큰 현안이다. 타개해야 할 문제다.

낙동강 물로 생산한 쌀과 무·배추에서 녹조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는 환경단체 조사 결과를 두고 최근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명박정부의 4대강 사업은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재앙이다. 물은 고이면 썩는다. 그런 물로 생산한 농산물이 올바른 먹거리가 되겠나. 문제는 정부가 해놓은 일에 대해 농민이 가해자 취급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피해자가 가해자로 둔갑된 것이다. 공동대책위원회를 만들어서 대응하고 있다. 과거 정부의 잘못이더라도 현 정부와 차기 정부가 책임지고 원상복구해야 한다.

올 한 해 경북도연맹의 중점사업은.

회원과 조직 간 소모임 형태로 간부육성을 하고자 한다. 농촌 고령화는 기정사실인데, 그에 비해 복지 등이 열악하고 돈도 안 되다 보니 젊은 사람이 들어올 리 없다. 시골 마을회관에서 회의하는데, 그 자리에서 보면 농사가 아니면 이 마을이 몇 년 후에 문 닫을 것이란 걸 바로 안다. 경북과 강원은 특히 심각하다.

임기 내 꼭 이루고 싶은 목표는.

목표는 항상 똑같다. 농민의 지위를 인정받는 것이다. 그동안 농민은 국민 대우를 받지 못했다. 농민은 노동자도 아니고 사업자도 아니라고 한다. 일반 가게는 세금이나 인건비 등 따져서 가격을 산정하고 세금으로 환원하고 하지만, 농민은 정해진 게 없다. 쌀값만 그나마 정해져 있는데 이마저도 무너지고 있다. 세금을 정확히 산정해서 걷던지, 아니면 농업은 공공재니 적어도 준공무원 수준의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