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단계 로컬푸드 운동의 과제는?

지역재단 주최 ‘현 단계 로컬푸드 운동의 비전 찾기’ 포럼 열려

  • 입력 2021.06.13 18:00
  • 기자명 강선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강선일 기자]

지난 4일 경기도 평택시 로컬푸드재단에서 지역재단 등의 주최로 52차 지역리더포럼 ‘현 단계 로컬푸드 운동의 비전 찾기’ 토론회가 열렸다. 지역재단 제공
지난 4일 경기도 평택시 로컬푸드재단에서 지역재단 등의 주최로 52차 지역리더포럼 ‘현 단계 로컬푸드 운동의 비전 찾기’ 토론회가 열렸다. 지역재단 제공

현재의 로컬푸드(지역먹거리) 운동 과정에서 풀어야 할 과제는 무엇일까?

(재)지역재단(이사장 박경)은 지난 4일 경기도 평택시 로컬푸드재단에서 로컬푸드전국네트워크·평택농업희망포럼과 함께 52차 지역리더포럼 ‘현 단계 로컬푸드 운동의 비전 찾기’를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선 최근 로컬푸드 운동의 발전 양상을 살피고, 향후 로컬푸드 운동이 진정 지역 농민과 연계되는 풀뿌리 운동으로서 발전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제기됐다.

2016년 6월「지역농산물 이용 촉진 등 농산물 직거래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일단 양적으로는 로컬푸드의 발전이 이뤄졌다. 문재인정부의 ‘100대 국정과제 추진실적’에서 농림축산식품부가 기록한 데 따르면, 2018년 전국에 229개였던 로컬푸드 직매장은 지난해 554개로 늘었다.

윤병선 건국대 교수는 “제도화는 운동을 지속적으로 가져갈 수 있는 물적 기반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이로 말미암은 (운동의) 도구화, 관행화는 막아야 한다”며 “이미 몇몇 지역에서는 로컬푸드 직매장 개설이 보조금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진행돼 로컬푸드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확대될 우려도 높다”고 지적했다.

윤 교수는 이어 “직매장 개설 수, 유통물량 등 수치 중심, 로컬푸드의 가치가 배제된 표피적 직거래 중심 정책이 시행된다면, 법 시행 이전부터 지역에서 주체적으로 활동하는 직매장들은 ‘짝퉁 직매장’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 노출될 것”이라며 “로컬푸드와 관련된 사업 주체는 생산공동체 또는 생산자조직을 바탕으로 한 공공적 성격의 조직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헌중 지역재단 상임이사는 로컬푸드 운동 발전을 위한 제안으로 △지역 내 먹거리 연대 강화 △먹거리시민 교육, 먹거리 활동가 양성 △소비자-농민 간 새로운 관계시장 형성 △읍·면·동 공유부엌·공동밥상·마을식당 등을 통한 지역사회 먹거리 돌봄체계 강화 △주민자치·사회적경제·건강·복지·지역재생 등의 영역과 로컬푸드 운동을 연계시키는 활동 전개 등을 강조했다. 로컬푸드 운동을 통해 지역 내 ‘전환의 진지’를 만들어내자는 것이다.

김성훈 평택시 로컬푸드센터장은 로컬푸드를 매개로 한 지역공동체와의 협업에 나서는 평택시 사례를 소개했다. 김 센터장이 몸담은 평택시 로컬푸드재단은 평택시 오성면 재래시장인 숙성시장의 100여개 상점들과 협력을 강화하면서, 로컬푸드가 지역 내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노력 중이다. 숙성시장 상권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갈수록 취약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근 도심 상가로부터 배달식이 날아들어 새로운 위기에 직면해 있다는 게 김 센터장의 설명이다.

김 센터장은 “오성면에 위치한 음식점들, 그리고 부녀회원들과 협력해 공동으로 레스토랑을 운영하고, 나아가 지역산 식자재 센터를 함께 경영하는 것과 관련해 의견을 모으고 있다”고 밝혔다.

충북 옥천군의 로컬푸드 운동에 앞장서 온 주교종 옥천살림 상임이사는 향후 로컬푸드 운동의 과제로서 △주민 먹거리 기본권 실현 △튼튼한 자치회·협의체 구성 및 운영 △생산자 뿐 아니라 소비자 조직화 △협동과 연대를 위한 유기적 사회관계망 형성 등을 제시했다. 주 상임이사는 “옥천군 시민사회는 먹거리체계 강화를 위해 조례 제정,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포괄하는 옥천 먹거리위원회 구성, 전 군민이 동의하는 ‘지역먹거리(옥천푸드) 10대 의제’ 선정, 지역 정치지형에 흔들리지 않는 공공의 의사전달체계 구축 등의 노력을 기울이는 중”이라고 밝혔다.

주 상임이사는 “향후 지역 먹거리계획에서 빠지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내용 중 하나가 생태보전형 경축순환농업 틀 설계에 대한 내용”이라며 “축분·농가부산물 등의 자원순환을 위한 지원, 둠벙 조성, 생태관광지구 조성 등의 내용이 담긴 조례 제정을 위해서도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