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농과 도시민의 ‘연결고리’

[ 광역지자체 먹거리계획 점검 ]⑥ - 경상남도

  • 입력 2021.02.21 18:00
  • 기자명 강선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강선일 기자]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선 친환경농업 확대, 그리고 농촌에서 생산된 먹거리의 공급망이 제대로 확보돼야 한다. 최근 각 지자체에서 ‘푸드플랜’을 세우는 상황에서, 이 계획이 얼마나 지역 농민들과 연계되는지 살펴봐야 할 시점이다. 각 광역지자체의 먹거리계획을 점검해 본다.

어느 지역이 안 그렇겠나만, 농민층 양극화 과정에서 경상남도의 중소농 비중도 늘고 있다.

경남도가 2019년 발표한 ‘경상남도 먹거리 2030 혁신전략’에 따르면, 도내 중소농가(경지면적 0.5ha 미만 농가 기준) 비중은 2010년 47.6%에서 2018년 55.4%(6만8,111호)로 늘어났다. 중소농의 91%는 연간 농산물 판매액이 1,000만원 이하였다.

한편 경남도의 주산품목 중심 생산체계 속에서 품목 단작화 및 지역 내 공급체계의 미흡 문제도 드러났다. 도내 생산액 상위 10개 품목이 전체 생산액의 83.1%를 차지한 반면, 밀·콩·무·배추·배 등의 품목은 연간 도민 소비량 대비 생산량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남도의 먹거리계획 추진 상황은?

2019년부터 경남도 먹거리계획 논의가 본격화됐다. 2019년 1월 31일, 진주시 경남도청 서부청사에서 ‘경상남도먹거리위원회’ 출범식이 열렸다. 이날 경남먹거리위원회는 △공공급식 확대 위한 플랫폼 구축 및 관련 조례 제정 △경남 혁신도시 공공기관 지역농산물 공급 방안 마련 △공공급식 확대에 따른 안정적인 식자재 확보 방안 등을 중점과제로 세웠다.

경남도는 먹거리통합지원센터 설치를 통해 광역 작부체계 구축 및 도내 농산물 품목 수급조절을 진행하고자 한다. 현재 경남도의 먹거리통합지원센터는 김해시와 거창군 두 군데에 있다. 2019년부터 밀양시와 남해군이, 지난해부터 거제시·창녕군·고성군이, 올해부터 창원시·진주시가 먹거리통합지원센터 건립을 추진 중이다.

부울경 자체의 연결고리 절실

2019년 6월 10일 진주시 경남농업기술원에서 열린 경남친환경연합사업단 창립총회. 경남친환경연합사업단 제공
2019년 6월 10일 진주시 경남농업기술원에서 열린 경남친환경연합사업단 창립총회. 경남친환경연합사업단 제공

 

경남도의 바로 동쪽엔 부산·울산이라는 두 광역시가 있다. 경남도 내엔 최근 특례시로 지정된 인구 약 104만명의 창원시가 있다. 경남의 생산지–부울경(부산·울산·경남)의 대규모 소비처 간 연계 필요성이 제기되는 상황인데, 아직은 연결고리가 확고하지 않다.

부울경 최대도시인 부산광역시의 학교급식 상황은 연결고리 구축의 필요성을 잘 보여준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이버거래소의 학교급식부 내부자료에 따르면, 금액기준으로 지난해 부산 학교급식에서 가공품이 34.8%, 축산물이 26.5%의 비중을 차지한 반면, 농산물 비중은 17.5%에 그쳤다. 친환경식품 비중은 전체 급식 식재료비 1,746억원의 11%인 192억원으로 턱없이 낮았다.

일단 부산시에 3개의 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급식센터)가 있긴 하나, 이곳들에 대한 부산시의 행정적 지원은 없는 상태라는 게 김형석 경남친환경연합사업단 대표의 설명이다. 3개의 급식센터는 각각 금정농협, 녹산농협, 동부산농협 등 지역농협들이 운영한다.

김 대표는 “부산시 관내에서 생산되는 친환경농산물은 소량이고, 발주체계가 일원화돼 있지 않아 각 센터별로 개별 발주를 한다”며 “부산 관내에서 생산되는 친환경농산물 일부를 제외하곤 벤더업체를 통해 구매 중인 상황이다. 따라서 부산 관내 학교와 공급처인 산지조직이 소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즉 생산지-광역시 소비처 간 연결고리 구축을 통해 소농의 판로가 추가로 확보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경남 친환경농민들이 모인 경남친환경연합사업단은 현재 경남도의 광역산지조직 육성 및 광역단위 생산유통체계 조직화를 통한 경남 공공급식 체계 구축을 위해 노력 중이다. 김형석 대표는 “2019년 492농가의 참여로 생산자 조직화 과정이 시작된 이래, 지난해엔 코로나 상황에도 650농가로 참여농가가 늘었다”며 “올해는 800농가로 참여농가를 늘림과 함께, 18개 전 시·군에 출하조직을 세우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경남 최대도시인 창원시가 먹거리계획 수립에 적극적인 것도 긍정적 현상이다. 창원 먹거리계획 논의에 참여 중인 진헌극 전국먹거리연대 공동대표는 “먹거리계획 수립, 지자체 출연 재단법인을 통한 먹거리통합지원센터 운영 건의 추진에 있어 허성무 창원시장도 적극적”이라 밝혔다.

진 대표는 이어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지원사업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진 대표는 “창원시의 경우 매년 대략 6,500여명이 임산부로 통계에 잡히는데, 그중 현재 창원시가 시범사업으로 진행 중인 꾸러미 지원사업 대상은 1,100여명 정도”라며 “지자체 차원에서 선도적으로 꾸러미 지원사업 강화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