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계획은 있다

  • 입력 2018.08.19 01:28
  • 수정 2018.08.19 21:36
  • 기자명 홍기원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홍기원 기자]

농업계에 장밋빛 전망을 앞세운 대형 투자계획들이 줄줄이 쏟아지고 있다. 정부는 약 6,000억원에서 1조원 가까이를 쏟아 스마트팜 혁신단지를 만들겠다고 하며 하림그룹 계열사인 선진은 경기도 안성시에 대형 패커를 짓겠다고 한다. 총 사업비가 2,000억원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정부가 추진 중인 스마트팜 혁신단지 1곳에 투입되는 사업비와 맞먹는 규모다.

취재과정에서 만난 취재원들은 선진의 안성 축산식품복합단지 사업은 축산판 스마트팜 사업이라 지적한다. 두 사업은 스마트 시스템을 내세우는 것, 그리고 네덜란드의 사례를 선진사례로 내세웠다는 공통점이 있다. 대형 투자에 따른 장밋빛 전망도 비슷하다. 일자리가 늘어나고 위기의 농축산업을 구출할 구원의 사업인양 사업의 효과를 주장하고 있다.

하림이 육계에 이어 한우·한돈마저 장악하려 한다거나, 기존 도축장들의 경영난을 부를 것이란 지적은 잘못된 정보에 기인한 ‘오해’일까. 오해로 간주하기엔 위치가 절묘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안성시엔 이미 도드람 LPC공사가 가동 중이다. 안성시와 경계를 마주한 충북 음성군엔 농협 음성축산물공판장이 있다. 충남 천안시엔 내년까지 대전충남양돈농협 축산물종합유통센터가 들어설 예정이다. 그리고 경기 부천시엔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부문의 핵심사업인 부천축산물복합단지 건립이 추진 중이다. 협동조합형 패커들의 가운데에 하림그룹의 패커가 들어서는 것이다.

사육두수가 갑자기 늘어나지 않는 한, 한정된 물량을 놓고 이들 사업장간 피말리는 경쟁이 일어날 전망이다.

대기업 패커가 시장을 주도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 대기업의 이윤에 따라 축산물 수급이 좌우되거나 패커로 인해 감축한 유통비용이 소비자가격 인하로 이어지지 않고 고스란히 대기업의 이윤에 녹아들 공산이 크다. 민간기업이기에 수입육도 취급할 수 있다.

누구나 그럴듯한 계획이 있다. 그러나 정책당국자들은 그 사업의 이면도 바라볼 줄 알아야 한다. 산업단지 허가권이 있는 지자체와 축산유통정책을 담당하는 주무부서, 농림축산식품부가 염두에 둬야할 대목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