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말하는 “우리밀 정책 이렇게”

종자 개발·수확 후 가공처리 시설 있어야

  • 입력 2018.01.12 12:36
  • 기자명 원재정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원재정 기자]

식량자급률을 높이고 제2의 주식인 밀의 안정적 생산기반 확보를 위해 「국산밀산업육성법」 제정법안이 발의된 가운데 생산현장에서도 실효성에 중점을 둔 우리밀 정책에 대한 의견이 활발히 나오고 있다. 정부가 밀자급률 10%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밀 생산·유통현장에는 여전히 기반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우리밀은 과잉재고와 생산량 부족이라는 불안정한 상태를 3~4년 주기로 반복하고 있다. 이를 사전에 해결하기 위한 우선적인 해법으로 개별단위 종자 신청과 파종을 각 산지별 경영체 단위로 묶어내는 것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충남로컬푸드 이동형 공동대표는 “현재 볍씨는 경영체 단위로 분배하고 있다. 밀 종자 역시 경영체 단위로 분배해야 하는데, 지금은 개별 농가에서 종자를 신청하고 각자 파종하는 방식이다. 이를 각 산지별 협의회를 구성해 회원경영체 단위로 종자를 분배하고 그에 따라 다음해 수확량을 사전에 예측하고 대처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전했다.

우리밀 종자 개발 역시 중요한 과제다. 우리밀은 금강밀, 조경밀, 백중밀 등 10여 가지 품종이 개발 돼 있지만 지역에 따라 최적의 종자가 무엇인지, 또 국수·빵·밀가루 등 용도별 다양성을 겸비한 품종개발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외국의 경우 품질과 쓰임새에 따라 밀 종류가 수백여 가지인 것과 대조적이다.

이동형 공동대표는 현재 우리밀 산업에서 가장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제분 등 밀 가공 분야를 꼽았다. 이 대표는 “밀은 소비용도에 따라 빻아서 제분해야 하고, 벼는 깎아서 도정해야 한다. 수확 후 공정이 다르다는 뜻이다. 그런데 현재 밀은 벼와 동일한 건조기·정선기 등을 사용해 벼처럼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면서 “우리밀의 활용가치를 높이고 업계에서도 수입밀 대신 우리밀 선택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밀의 건조, 정선, 선별기계에 대한 개발이 꼭 필요하다. 이를 위해 쌀 종합처리장(RPC)과 같은 밀 종합처리장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외에도 공공급식이나 단체급식에서 우리밀과 우리밀 가공품을 우선구매 하도록 제도에 반영하는 방안과 거름을 많이 필요로 하는 밀의 특성을 기초로 가축분뇨처리사업과 연동시켜 영농기계, 지원금 등을 우리밀에 사용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한편 국산밀산업육성법 제정안은 지난해 12월 27일 이개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 발의해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 계류 중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