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건비도 안 나온다”

농협 로컬푸드직매장 관계자들의 푸념

  • 입력 2017.10.20 14:31
  • 수정 2017.10.20 14:32
  • 기자명 박경철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박경철 기자]

농협 로컬푸드직매장 현장에서 만난 농협 관계자들의 목소리는 “기존 관행 농산물이 대부분인데다 판매대가 비어 보일 정도로 출하량이 적다보니 운영에 어려움이 크다”는 하소연이 주를 이뤘다. 인건비조차 보존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B농협 관계자는 “군단위는 30평 매장에 들어가 보면 물건이 별로 없다. 그러면 소비자가 찾질 않는다. 농산물을 꽉 채운다고 해도 하루 이틀 안에 소비가 되지 않으면 다 갖다 버려야 한다. 그러면 실패하는 것”이라며 “결국엔 고객이 문제다. 군단위는 아직은 시기상조고 그나마 방문객이 많은 시단위는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로컬푸드직매장을 단독매장으로 열었던 B농협의 경우 하나로마트를 신축하며 복합매장으로 재개했지만 8평 남짓했던 판매대를 4평으로 축소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이 농협이 시설자금으로 지원받은 3,500만원을 회수했다.

이 농협의 올해 계약농가는 56농가로 현재 30농가만 출하하고 있다. 채소가 150품목에 달하는데 소농의 물량만으로 어려워 대농도 출하하고 있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또한 부족한 물량은 타지역 농협 로컬푸드를 들여온다. 관계자는 “하나로마트는 몰라도 로컬푸드는 가락시장 등 대형 공판장에서 들여오면 안 된다. 농민들이 난리가 날 것이다. 진열하면 낫을 들고 쫒아올 수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로컬푸드에 대한 인식은 있었지만 경영성과 효율성을 중점에 둔 운영이 주축이 되다보니 결국 로컬푸드직매장도 형식적으로 남아있는 모습이었다.

A농협 관계자도 “출하 농산물도 부족하고 품목별 시기가 정해져 있어 출하량이 들쭉날쭉하다보니 판매대가 헐렁할 때도 있다”고 전했다. A농협의 계약농가 수는 130농가고 활성화된 농가는 80농가, 품목은 130여개다. 이 관계자는 “로컬푸드라는 특색을 살리려면 안정적인 출하량을 위해 정부나 지자체가 소농·고령농 교육이나 공동경작지를 통한 특작물 재배지도가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하지만 이 관계자는 “영농지도 등이 농협의 역할이 아니냐”고 묻는 질문엔 “농지를 마련하고 진행하기엔 조합원들의 눈도 있고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A농협은 그나마 로컬푸드직매장 사업에 의지를 가진 터라 복합매장 형태지만 번듯하게 30평이 넘는 판매대를 유지했다.

이들은 가격 결정을 전적으로 출하농가가 함을 강조하면서 유통단계가 줄었음에도 품질이 좋다는 이유로 가격을 높게 책정하는 경우가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는 목소리도 냈다.

이들의 목소리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양적 확대만 앞세우다 보니 여러 현실적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특히 경영성과 효율성을 앞세우다 보니 로컬푸드직매장을 대폭 축소하는 경우도 확인됐다. 운영 주체에 대한 교육은 물론 꼼꼼한 실태 파악 등 농협중앙회의 종합적 지도감독이 전제돼야만 농협 로컬푸드직매장이 제대로 안착할 수 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