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환경 평가, 국민 눈높이에 맞추겠다

축산환경관리원이 체계적 사후관리 주도

  • 입력 2017.08.14 16:40
  • 수정 2017.08.14 16:43
  • 기자명 홍기원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홍기원 기자]

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깨끗한 축산농장 5,000호 조성 추진을 국정과제 중 하나로 삼으며 축사환경 개선사업들이 깨끗한 축산농장 선정사업을 중심으로 재편될 분위기다. 사업 내용은 지역 주민과 소비자의 눈높이에 부합하는 기준에 방점을 찍고 있어 앞으로의 추이가 주목된다.

축산환경관리원(원장 장원경)은 최근 깨끗한 축산농장 조성사업과 관련한 현장 순회교육을 진행했다. 이 교육내용을 보면 단순 환경개선 사업이 아닌 정책적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깨끗한 축산농장은 사업에 응한 농가들을 지자체가 전문가들과 함께 심사해 70점 이상 획득하면 최종적으로 관리원이 검증해 선정된다. 심사에서 가장 중요한 현장평가는 지자체 담당자 외 2인의 전문가가 참여하는데 그 중 1인이 소비자단체 및 시민단체 몫이다.

이상원 관리원 부장은 “그동안 많은 관련사업이 있었는데 대부분 농장외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사후관리가 미진했다. 깨끗한 축산농장 사업은 농장 내부를 관리하고 관리원이 체계적인 사후관리를 할 계획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깨끗한 축산농장은 쾌적한 환경조성과 지속가능한 축산업 발전에 이바지하는 축산농장을 뜻한다. 정부 정책이 농가를 보호하는 한편, 국민 입장에서 축산농가를 보겠다는 의미다”라고 부연했다. 관리원은 축사환경관리에 관한 매뉴얼을 개발해 현재 지역별, 생산자단체별 추진하는 환경관련 사업들을 일원화하겠다는 구상이다.

관건은 축산농가의 사업참여 유도와 ‘깨끗함’의 기준이다. 당장 올해 축산농장 1,000호를 깨끗한 농장에 지정하겠다고 목표를 밝혔지만 국가지원사업에서 사업자 우선선정 대상에 포함하는 수준의 인센티브만으로는 농장주의 의욕을 끌어올리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 주관적 느낌인 ‘깨끗함’을 어떻게 수치화해 평가할건지도 올해 사업추진 상황을 지켜봐야할 대목이다. 현장평가 채점표를 보면 악취발생 등 주요항목들이 현장평가를 하는 지자체 담당자와 전문가 2인의 주관에 따라 채점하게 된다. 이에 이 부장은 “해외에서도 직접관능법을 활용하고 있다. 시범평가를 해보니 비슷한 점수대에서 채점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교육에 참석한 김창섭 충청북도 축산과장은 “충북도도 깨끗한 축산 가꾸기 TF를 구성해 축산환경 민원 해결에 의지를 보이고 있다. 분뇨와 냄새 문제를 해결해야 지속가능한 축산을 만들 수 있다”라며 지자체 담당자들과 축산농가의 참여를 당부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