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AI 대책 및 원인규명 놓고 갑론을박 ‘누구 말 맞나’

살처분 규모 1,500만수 돌파 … 오리·산란계 사육기반 ‘흔들’
농식품부, 한시적 산닭 유통 조건부 승인

  • 입력 2016.12.18 10:49
  • 수정 2016.12.18 17:11
  • 기자명 홍기원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홍기원 기자]

고병원성 AI 확산으로 가금농가의 살처분 규모가 총 1,500만수를 넘고 있다. 신규 의심축 신고가 이어지는 가운데 유전자분석 등 정부의 역학조사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나와 혼란이 가중되는 모습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14일 기준 고병원성 AI 확진 건수는 53건이며 발생지역은 7개 시·도 26개 시·군에 달한다. 경남에선 고병원성 AI가 의심되는 야생조류가 잇따라 발견돼 영남지역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살처분 규모는 1,140만수를 완료했으며 403만수가 예정돼 1,500만수를 넘겼다.

매일 발표하는 농림축산식품부 방역 일일보고에 사육대비 살처분 현황이 추가 기재돼 사육기반에도 신경을 쓰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14일 현재 오리는 145만수(사육대비 16.6%), 산란종계는 42만수(사육대비 49.6%)가 살처분돼 현재까지의 피해만으로도 사육기반에 심각한 타격이 예상된다.

정부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로 지난 12일 방역상황을 점검하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전국단위 가금류 일시 이동중지 명령(스탠드스틸)을 추가로 발령했다. 정부는 13일부터 14일까지 48시간 동안 발동한 스탠드스틸 이후 경과를 지켜본 뒤 위기단계 격상을 논의할 예정이다. 긴급 백신접종이 검토될 가능성도 있다.

일단 농식품부는 백신사용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이준원 농식품부 차관은 15일 YTN라디오에 출연해 “AI는 타입이 144종이나 되기에 백신정책의 한계가 분명히 있다”며 “선진국은 백신보다 살처분 정책을 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현재까지는 AI 상재국이 아니지 않냐”고 반문했다.

이같은 정부의 입장에 서상희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는 “아주 잘못된 얘기를 (정부가)하고 있다”고 일축했다. 서 교수는 “H5 단백질에 맞춰 백신을 생산하면 효과가 있다”라며 “한시적으로 백신을 접종하면 자체 AI 청정화 선언도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정부와 서 교수는 유전자분석 등 역학조사 결과에서도 상반된 설명을 내놓고 있다. 농식품부는 14일 H5N6형 AI 바이러스 유전자분석 2차 중간결과를 발표하며 “분리된 H5N6형 바이러스는 모두 5개의 유전형에 속했다”고 밝혔다. 이어 “추정되는 유입 경로는 2016년 봄 중국 광동성에서 H5N6에 감염된 야생조류가 시베리아, 중국 동북부 지역의 번식지로 이동 후, 이곳에서 교차 오염된 야생조류가 우리나라로 도래하면서 유입됐다”고 부연했다.

서 교수는 “최소 수개월 전에 바이러스가 들어왔는데 여름 동안엔 자연 폐사율이 올라가니 알 수 없었던 것이다. 겨울철이 되면서 갑자기 온도가 떨어지니 폐사가 속출한 걸로 본다”고 정부의 발표에 어긋난 분석을 내놓았다. 역학조사 결과는 곧 방역대책으로 이어지는만큼 명백한 원인규명이 요구된다.

한편, 농식품부는 15일 한국토종닭협회의 살아있는 닭(산닭) 유통의 한시적 재개 건의를 방역조건 및 방역조치 미이행시 처분 등을 조건으로 받아들였다. 토종닭협회는 가금중개상이 수요일에서 일요일까지 5일은 유통하고 월요일과 화요일은 일제소독을 하는 제한적인 산닭 유통을 건의한 바 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