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농기계 시장 퇴출 위기, 기술경쟁력 확보 시급

일본산 농기계 시장 잠식 … 가격경쟁력 깨진 내수시장 안정 필요
기업·정부, 농기계 기술력 향상 위한 연구 개발 투자해야

  • 입력 2015.11.13 15:03
  • 수정 2015.11.15 17:27
  • 기자명 박선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박선민 기자]

국산 농기계가 수입 농기계에 밀려 시장 경쟁력을 잃고 있다. 가격 경쟁력 약화와 기술 개발 미흡이 그 원인으로 꼽힌다. 국산 농기계의 시장 퇴출 위기가 불거진 가운데 지난 6일 국회 헌정기념관 대강당에서 새누리당 이군현 의원 주최로 ‘농기계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 토론회’가 열려, 국산 농기계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방안이 모색됐다.

수입 농기계에 자리 내준 국산 농기계

농기계 내수시장에서 국내산 농기계의 성장은 정체된 반면, 수입산 농기계가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국내 농기계 산업은 약 1조원 수준의 시장 규모를 갖고 있지만 2000년대 전후 수준에서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전체 농기계 수요량이 감소한 것도 정체 요인 중 하나다. 1990년대 연간 약 30만대의 수요를 보이던 것이 현재 연간 5만대 수준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무엇보다 수입 농기계 특히 일본산 농기계의 시장 잠식이 내수시장 침체의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국내 농기계 시장에서 일본산 농기계의 시장 점유율이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장 조사에 따르면 수입 이앙기는 이미 시장 점유율 50%를 넘어섰다.

농민들은 잦은 부품 변경, 품질 저하 등의 이유로 국산 농기계 구입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며, 농민들의 외국산 선호도도 트랙터 15.6%, 이앙기 20.2%, 콤바인 26.3%로 나타나고 있다.

일본산 농기계 시장점유율이 증가하면서 국산 농기계 업계의 위기감도 증가하고 있다. 국산 농기계 대리점들은 3~5년 이내 국산 농기계의 시장 퇴출이 우려 된다고 밝혔다. 김준수 대동공업 합덕대리점 사장은 “이와 같은 위기에도 정부가 일본산 농기계에 토종 농기계와 동일한 융자 혜택을 주고 있다”며 “국내 토종 농기계 산업이 벼랑 끝에 서있다”고 호소했다.

국내 농기계 산업 보호대책으로 대두된 융자 차등화 방안은 현재 뜨거운 감자다. 국내 농기계 5개 업체 대리점 전국친목회는 일본산 농기계에 동일한 융자 혜택을 주는 것에 반발해 정부에 보호대책 마련을 호소한 바 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국산 농기계 보호 조치로 융자 차등화 방안을 담은 농기계 구입지원 사업 시행지침을 개정키로 했다. 그러나 수입농기계 업체들은 차등안에 즉각 반대하며 지난 9월 농림축산식품부에 농기계 융자지원율 차등화(안) 철회를 요청하는 청원서를 제출한 상황이다.

농기계산업 체계적 육성 위한 기술 연구·투자 필요

국내산 농기계가 가격경쟁력을 잃은 데에는 농협의 최저가 입찰제가 빌미를 제공했다는 분석이다. 농협중앙회는 최저가 경쟁입찰을 통해 농기계를 구매, 공급하는 농기계 은행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문제는 국산 농기계 대리점들이 손실 보전을 위해 농기계 가격을 인상하고 모델을 자주 교체함에 따라 가격구조가 깨졌다는 점이다. 결국 수입산 농기계의 국내 시장 확대의 발판을 제공한 셈이다.

김경욱 서울대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교수는 “농협 중앙회의 농기계 은행사업이 최저가 입찰제를 시행하면서 유통시장이 문란해졌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 교수는 “내수시장의 안정을 위해선 농협과 민간 대리점의 상호보완적인 역할 분담을 통해 내수시장 안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다수의 전문가들은 국산 농기계 경쟁력 저하를 개선하기 위해선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농기계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와 연구가 미흡함에 따라 수입 농기계에 경쟁력이 뒤처지게 됐다는 것이다.

강창용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내산 농기계의 생산기술이 선진국 수준에 못 미치고 있는 현실을 지적했다. 강 연구위원은 “국산 농기계가 수입 농기계보다 품질과 성능까지 상대적으로 낮아 조만간 시장 확보가 불가능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며 “스스로 품질과 가격 경쟁력 제고를 통해 내수시장 안정화에 힘써야 한다”고 꼬집었다.

김경수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 정책지원 팀장은 “국내 농기계산업은 해외 시장 진출 가능성이 열려 있어 전망은 밝다”며 “해외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개발을 체계적이고 집중적으로 재편해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국내 4개사 연구개발 투자는 수입 업체들에 비해 투자 금액이 전체비용의 5~42% 수준에 그치고, 4개사 모두 기술이 중복돼 효율성도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김 팀장은 “무엇보다 핵심원천기술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절실하다”며 “자동차, 건설, 중장비 업체 등과 연대해 기술을 개발하고 정부지원 매칭펀드로 개발·시험·인증 전문연구센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