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융복합 기술, 들어보셨나요?

농업 첨단화 취지, 정보통신 기술 도입, 노동력 절감 도움 … 시설 현대화로 부채 증가 우려

  • 입력 2015.01.30 15:54
  • 수정 2015.02.04 14:17
  • 기자명 박선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농정 성과로 ICT 융복합모델 13종을 개발하고 1,280농가에 보급했다고 밝혔다. 노동력 절감엔 도움이 되지만, 시설 설치에 따른 농가 부채 증가도 우려된다.

ICT융복합 모델은 정보 통신 기술을 원예와 축산 시설에 접목한 것이다. 농식품부는 농식품 생산·유통·소비 과정에서 정보통신기술 융복합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꾀하고 정보유통으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ICT융복합 기술에는 ▲온도·습도·CO2·풍속 등에 대한 정보 수집 및 원격 모니터링 ▲난방 등 환경제어와 양액 등 생육에 필요한 복합 환경 생장관리 ▲축적된 생육정보를 활용한 분석 및 컨설팅 지원 등이 포함된다. 복합환경제어 시스템인 ‘스마트팜’이 대표적이다.

▲ 스마트팜 어플리케이션 개요출처 : 스마트팜 홈페이지

충남 부여군에서 토마토를 재배하는 최현석씨는 2년 전 지인이 사용하는 것을 보고 스마트팜을 신청했다. 최씨는 “내가 하우스에 가지 않아도 온도가 떨어지면 바로 문자가 오고, 폰으로 개폐기를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어 편리하다”고 말하며 노동력 절감을 장점으로 꼽았다.

다만 스마트팜 적용을 위해선 하우스 시설 현대화가 필수다. 정부는 스마트팜 설치 비용으로 500만원을 지원하지만, 시설 개선비용은 지원하고 있지 않다. 최씨도 스마트팜이 적용가능한 하우스를 자부담으로 신설해야 했다.

농식품부의 지원사업대상자도 ‘자동화시설이 갖추어진 비닐하우스’로 대상을 명시하고 있다. 농식품부도 ICT 융복합 사업에 딸기 재배 109농가가 신청했으나 시설여건이 양호한 33농가만 지원했음을 밝혔다.

이에 따라 시설 설치에 따른 농가 부채 증가가 우려된다. 시설비 등 고정투자 비용이 높은 화훼, 축산, 과수 농가들은 부채가 많은 실정이다. 시설투자는 그간 농가 부채 주원인으로 꼽혀 왔기 때문에 무리한 시설 투자 확대는 농가 부채를 늘릴 가능성이 있다.

농식품부는 올해부터 스마트팜 보급을 확산하기 위해 기존 노후시설 현대화를 지원한다. 원예는 1,150ha, 축산 분야에는 2,786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무엇보다 농가 인식이 미흡하단 점도 해결 과제다. 대부분 농가에서도 ICT 사업이 생소하단 반응이다. ICT기술이 농가에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인식 확대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