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 120주년을 맞으며

  • 입력 2014.02.16 20:03
  • 기자명 홍기원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는 동학농민혁명 120주년이다. 하지만 이를 국가적으로 기릴 기념일은 아직도 없는 상태다. 2004년 특별법 공포로 동학농민혁명이 국가기념일로 제정할 수 있게 됐지만 지역마다 서로 내세우는 날짜가 달라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2014년을 맞게 됐다.

달력을 보면 11월 11일 농업인의 날을 제외하곤 농민을 기념하는 날이 없다. 농업인의 날이 빼빼로데이란 상술에 밀린지도 오래다. 농업인의 날 유래를 짚어보면 이 날이 정말 농민과 무슨 관련이 있는지도 의문이다. 농업과 관련이 깊은 흙(土)을 상징한다는 데 억지로 의미를 붙였다고 볼 수밖에.

노동자의 날인 메이데이가 8시간 노동제 쟁취투쟁에서 유래했음을 떠올려보면 동학농민혁명 기념일이야말로 진정한 농민의 날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윤석모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무처장은 “동학농민혁명으로 만든 집강소가 바로 우리 민주주의의 효시”라며 동학농민혁명의 의의를 설명했다. 3.1운동 - 4.19혁명 - 5.18광주민주화운동의 뿌리가 바로 동학농민혁명이다.

동학농민혁명기념관엔 당시 일본의 동경조일신문과 오사카조일신문 등 일본언론들이 폐정개혁안을 소개한 신문기사가 전시돼있다. 당시 농민들이 만든 유일한 개혁안인 폐정개혁안엔 신분제 철폐, 세금제도 개선, 토지제도 개혁 등 근본적 개혁안 부터 과부 재혼 허용처럼 당시로선 파격적인 내용도 담겨 있다. 세계에 자랑할 민족유산으로 손색이 없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들과 20여개에 달하는 동학농민혁명 관련단체들의 행보는 혁명정신에 먹칠을 했다 표현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역의 기념행사나 축제는 지역민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고 심지어 지난해 5월 정읍 황토현전승기념제에선 고창의 무장포고문을 발표했다고 현장에서 다툼이 벌어지기도 했다.

전국농민회총연맹는 올해 사업계획 중 하나로 동학농민혁명 120주년 계승사업을 제시했다. 오늘날에도 유효한 ‘척양척왜’ ‘보국안민’ ‘제폭구민’의 기치를 되살려 식량주권 사수에 나서겠단 각오다. 과거를 기념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혁명정신을 계승하는 행동으로 여타 관련단체들에게 모범을 보이길 바란다.


<홍기원 기자>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