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업체, “수출로 위기 돌파하자”

IT 기술 및 가격 경쟁력으로 승부할 것
국제적 판매망 구축은 보완해야 할 과제

  • 입력 2013.01.18 13:04
  • 기자명 김명래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의 농기계시장은 1조 8,000억원 규모로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이 차지하고 있다. 농기계 회사들의 수출은 약 6억달러이고, 전체 시장의 0.8%를 점유하고 있다. 국내 농기계의 지속성장과 발전을 위해 지난 15일 대전에서 ‘농기계 산업발전 혁신연구회 세미나’가 개최됐다.

이 자리에는 농기계 기술을 연구하는 학자, 농기계 회사, 공무원 등이 참석해 농기계 산업을 진단하고, 농기계 수출의 방향도 진단했다. 한국생산기술원 김영주 박사는 국내 농기계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설명했다.

“현재 중국, 인도, 베트남 등이 경제성장으로 농기계 시장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데, 미국이나 일본의 업체들이 선점하고 있다. 우리나라 업체들은 선진국과 비교해 가격 경쟁력이 우위에 있고, IT 및 자동차 강국 산업기반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정부나 지자체의 업계 육성 발전의지만 있으면 충분히 경쟁해볼 만하다”고 주장했다. 최근, 곡물가의 급등과 중국의 WTO 가입으로 그 시장이 넓어졌다는 것이다.

하지만, 핵심부품을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부담감과 국제적인 판매망이 갖춰지지 않은 어려움을 감수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고 말했다. 김학진 서울대학교 교수는 “중국의 높은 농업기계화의 진행속도는 분명 우리나라 농기계 시장의 호재로 삼을 수 있지만, 중국과 인도의 농기계 경쟁력도 높아지는 상황에서 선진기업들의 중국 내 시장 점유율도 가중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선진국의 농기계보다 원가경쟁력이 낮고, 농기계 품목별로 낮은 매출규모는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농기계 생산업체는 농기계협동조합 회원사를 기준으로 약 460개사다. 대형 5개사를 제외하고는 직원 50인 이하의 업체가 94%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내수시장은 몇 년째 침체돼 있고, 소량체제로 인한 규모의 탈피가 필요한 시점이다.

청주에서 수확·처리기계 공장을 운영 중인 문사공 씨는 정부의 지원을 요청했다. “중소기업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는 우리나라의 농기계 시장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같은 선에서 선의의 경쟁을 하고, 가능성이 있는 곳에 지원을 해줬으면 좋겠다.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투자를 못받아 주저앉는 기업들이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지식경제부의 임광훈 사무관은 “우리 기업들이 세계 시장을 공략하는데 정부가 산업육성을 지원한다. 영세한 기업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고민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이어 “올해도 170억원을 지원해 농기계 산업 발전을 위해 정부도 적극 나서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토론회가 끝나고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 김경수 정책지원팀장은 “토론한 내용을 자료로 묶어 정부의 관계자들과 다시 만나 정책을 만들어 3월 중에는 구체적인 내용을 담아낼 것”이라고 밝혔다. <김명래 기자>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