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 발효, 한국 농민 무덤으로 안내하는가

  • 입력 2012.03.19 10:04
  • 기자명 한국농정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미FTA가 결국 발효되었다. 국민들 과반이 넘게 반대하는데도 조금의 망설임도 없이 말이다. 동시에 농업을 말려죽일 것이란 국민적 걱정과 함께 서규용 농식품부장관은 보도자료를 통해 피해가 제한 적일 것으로 낙관 한다고 했다. 또한 앞으로 10년 동안 경쟁력을 키우고 구조를 조정하면 농업에 기회가 오는 것이라 했다.

과연 그런가. 지금 피해대책이라고 내놓은 것이 과거 정부에서는 없었는가. 문민정부시절부터 국민의 정부 시절까지 10년 동안 42조원, 15조원을 농업에 투자했다. 그러나 결과는 연대보증을 통해 파산하고 음독자살한 농가가 늘었을 뿐이었다. 왜 그랬는지 정확한 진단도 내리지 못한 채 10년간 5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한다.

얼핏 10년간 농업손실 누적금액인 12조원의 4배에 달한다. 그것으로 정부가 책임을 다한 것처럼 보이는 일종의 노이스 마켓팅을 하고 있는 것이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2008년 257.2조원이던 국가전체 예산이 325.4조원으로 26.5% 증가했다. 2008년 13.95조원이던 농림수산식품부 소관 예산은 4대강 사업을 제외하면 2011년 13.71조원, 2012년 14.00조원으로 오히려 감소, 정체됐다.

또한 이명박 정부가 수립한 ‘2011~2015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국가 전체예산이 매년 4.8%씩 늘어나는 데 반해 농식품분야 예산은 1.0% 증가에 그치고 있다. 결국 년간 5조원인 FTA대책 기금이라는 것이 얼마나 허망한 윗돌 빼서 밑돌고이는 것인지 알 수 있다.

병주고 약준다는 말이 있다. 그런데 MB정부는 그것도 제대로 못하니 농민들이 울화통이 터져 죽어가는 것이다. 병을 줬으면 제대로 된 처방을 하고 약을 줘야 하는데 20년 전에 만들어진 방식으로 정책이 되돌이를 하고 있다.

농민들이 농촌을 지키며 농사를 계속할 수 있는 힘은 농산물 생산이 생활에 도움이 돼야 하는 것이다. 생산물이 적정가격을 유지 할 수 있다면 농업확대와 투자, 그리고 젊은 농민들의 확대로 이어질 것이다.

시설 현대화네, 기계화네 하는 것이 결국 생산물이 안정된 생활을 버티지 못한다면 결국 빛으로 떠안게 돼있다. 몇 번을 경험해봐야 아는가.

MB정부의 문제는 농업 구조조정이 대농, 상업농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농촌에 농업회사들을 만들고 결국 상업자본이 농업을 끌고 가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노령농가나 경쟁탈락 농가는 몇 푼의 보조, 지원금을 주어 탈농을 돕겠다는 것이다.

다원적 기능을 가진 농업이 단순시장기능에 포함되면 그 기능을 상실 할뿐만 아니라 자본의 논리로 수입이 더욱 확대될 수도 있다. 결국 이로 인해 우리농업의 미래는 불확실 해 지는 것이다.

처음도 경쟁, 마지막에도 경쟁의 무한경쟁인 한미FTA 발효는 한국농민을 무덤으로 안내 할 뿐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