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농기계값, 그 대안은?

  • 입력 2011.05.02 13:47
  • 기자명 한국농정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민들의 목소리

정부가 나서 원가 공개하고 마진 폭 줄여야

# 경기도 기 모(52)씨

가격이 제일 큰 문제다. 1년에 몇 일 쓰지도 않는 기계가 고급 승용차 가격인데 그 만큼 가치가 있는지 모르겠다. 현재 70마력 짜리 트랙터를 쓰고 있는데 가격이 5~6천만원 한다. 에쿠스 급인데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WTO, FTA 등으로 쌀값은 자꾸 떨어지는데 기계 값은 자꾸 올라간다. 이것이 문제다.

70마력 짜리 말고도 1987년 구입한 26마력짜리 트랙터도 아직까지 쓰고 있다. 큰 걸로 바꾸고 싶지만 계산이 나오질 않는다. 능력이 떨어져도 천천히 수리 하면서 쓰는 게 상책이다. 과거에는 전업농 등에 대한 지원이 있었는데 지금은 모두 없어졌다. 융자를 해 준다고 하지만 융자는 빚 아닌가.

 

트랙터 말고도 이앙기도 있어야 한다. 1주일 밖에 쓰지 않는데 1천 700여만원은 줘야 산다. 그 값어치를 뽑을 수 없다.
본체도 문제지만 작업기가 더 큰 문제다. 쟁기도 4~500만원은 줘야 사고, 로터리도 6~700만원이다.
3천만원이 넘는 콤바인도 없으면 안 되고, 관리기도 없으면 안된다. 농약 방제기도 있어야 하고 비료살포기도 있어야 한다.

그런데 10년 사이에 농사 규모가 1/4로 줄었다. 외지인들이 땅을 사서 매립을 하기 때문이다. 농사 지어 밥이나 먹으면 다행이다. 애들 교육은 땅 팔아서 해야 한다.
요즘은 인력 시장에 나갈 생각도 굴뚝 같다. 100일만 일하면 900만원을 버는데, 1년 내내 농사 지어 봐야 이것 빼고 저것 빼면 잘 해야 1천만원 정도 남는다.

농기계 장사를 하면 몰라도 농사 지어서는 살기 어렵다. 5천만원 짜리 트랙터 한 대 팔면 7~800만원이 남는다는다고 한다. 농기계 원가를 낮추고 마진도 줄여야 한다.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서 업체들을 압박하고 원가를 공개하도록 해야 한다. 그런데 정부가 거꾸로 신고제까지 폐지 했다니 이젠 볼장 다 본 것이다.   〈김규태 기자〉

면세유 갈증 언제나 풀리나?

 
   
 
 

 

 

 

# 경기도 박 모(45)씨

“왜 갈수록 면세유가 줄어드는지 모르겠다.”
값비싼 농기계를 융자로 구입한 농민들은 기름값에 또 한번 허덕인다.
농민들은 정부가 면세유를 충분히 공급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현실을 바로 보지 못한다고 질책했다.

경기도 양주의 한 낙농가는 “보통 트랙터 2대는 기본인 농가들이 많은데, 면세유는 기계 1대에만 배정된다”면서 “그래서 가족 명의로 농가경영등록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현황을 설명했다.
본인 소유 트랙터가 2대지만 가족 명의로 농가등록을 또 한다는 것. “그래야 아쉬운 대로 면세유를 각각 배정받을 수 있다”고 말하는 그는 지갑에서 면세유 카드 2장을 꺼내 보여줬다.

“면세유 카드도 통장에 잔고가 있어야 쓸 수 있어 형편이 어려울 때는 그마저도 보릿고개 넘듯 넘어야 할 때가 많다”고 그는 덧붙였다.
위탁영농을 하며 여러 대의 농기계를 구비하고 있는 영농조합법인들도 면세유 때문에 애를 먹기는 마찬가지다.

농민들은 농기계 가격을 내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유지하기 위한 면세유 등을 지원하는 것에도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원재정 기자〉

트랙터가 2대인 한 농민은 가족의 명의로 농가경영체 등록을 해 면세유를 배정받고 있다. 이 때문에 지갑에는 항상 면세유 카드 2장을 지니고 다닌다. 


농기계대리점들의 목소리

# 000대리점 김 모(48)씨

   ■ 수입 농기계 원가 공개 해야
본사들의 무분별한 농기계 수입으로 농기계 시장이 교란 되고 있다. 존디어의 경우 본토 제품인지 제 3국 제품인지 출처를 정확히 밝히고 원가를 공개 해야 한다. 값 싼 제품이 시장에 풀리면서 농민들의 중고 농기계를 2배 이상의 가격으로 사 들이면서 다른 대리점들이 선의의 피해를 입고 있다. 이를 원천적으로 방지 하기 위해서는 본사에서 수입 하고 있는 농기계의 출처와 함께 정확한 원가가 공개 되어야 한다.

# 000대리점 김 모(65)씨

   ■ 농기계 가격신고 제도 부활 되어야
농기계 가격 신고제가 폐지된 가운데 농기계 생산 업체들이 가격을 올리면서 대리점들의 피해가 예상 되고 있다. 전에는 농기계 가격 인상시 농식품부에 신고를 했어야 했는데 지금은 조합에 통보만 하면 된다. 농기계 업체들이 사회물가와 인건비, 자재값 등을 반영 한다며 농기계 가격을 올리면서 폭리를 취하고 있다. 이는 농기계 성능과 관계 없는 불로소득이다.

이러한 것들을 예방 하기 위해서는 농식품부 가격신고 제도가 부활 되어야 한다. 농식품부가 손을 놓고 있으면 안된다. 생산 농민들을 위해 농식품부가 노력 해야 한다.

# 000대리점 진 모(44)씨

   ■ 농기계 가격 인상 규제 강화 해야
쌀대란, 구제역 등으로 농촌 실정은 어려운데 농기계 가격은 특별한 상승 요인이 없는데도 인상 되고 있다. 대리점에서 직접 농기계를 생산 할 수도 없고 수입도 할 수 없는 현실에서 농기계 생산 업체들이 자제 하는 수 밖에 달리 방법이 없다. 대리점은 본사에서 하는 대로 따라갈 수 밖에 없는 입장이다. 따라서 농기계 생산 업체들이 마구잡이로 가격을 인상 하지 못하도록 정부에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

# 000대리점 유 모(52)씨

   ■ 농기계 생산업체 2개로 통폐합 해야
우리나라 농기계 업체들은 자체 생산 보다는 대부분의 농기계를 외국에서 수입해서 팔고 있다. 말이 생산업체이지 실제로는 유통업체와 다름없다. 따라서 농기계 수리비가 비싼 원인이 되고 있다.
농기계 업체들이 생산을 하지 않는 이유는 경제성이 없기 때문이다. 농기계 업체가 너무 많아서 그렇다. 농기계 생산 업체도 자동차 회사들처럼 2개 정도로 통폐합 해야 한다. 그래야만 질 좋은 농기계를 만들 수 있고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러한 내용들을 계속해서 정부와 생산업체에 건의 했지만 정부는 자율경제 체제라서 방법이 없다고 회신해 왔다. 한 마디로 정부의 의지가 부족 하다는 뜻이다. 자율경제 체제라지만 자동차 업계도 통폐합 하지 않았는가. 정부의 의지가 있어야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