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관도 못막는 구제역을 농가가 어떻게 막나”

  • 입력 2011.01.17 14:28
  • 기자명 김황수진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살처분이나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을 경우 구제역 가축의 생존률은? 치료법은 없나

(우희종) 치사율은 10% 정도이고, 어린 동물의 경우 50%까지 간다. 문제는 구제역에 걸린 가축은 생산성이 떨어져 경제적 측면의 손해가 생기며, 전파력이 매우 강하다는 점이다.
구제역은 독감과 비슷한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특효약은 없다. 독감도 감기 그 자체로 죽기보다 세균, 폐렴 등 2차감염이 문제다.

(전진경) 살처분은 아주 초기에만 효과가 있으며 누구에게도 도움이 안된다. 청정국 때문에 살처분 정책을 고수해왔는데, 우리나라에서 돼지고기 수출이 10억이라면 그의 800배인 8천억을 수입해오고 있는 상황에서 청정국 지위 유지로 인한 수혜자는 누구인가.

구제역은 어떤 경로로 전파되나?

(우희종) 구제역 바이러스는 접촉 뿐만 아니라 공기를 통해서도 이동 가능하다. 해상에서는 300~600km까지도 이동한다고 하는데 지형과 환경 조건에 따라 다르다.

베트남에 다녀온 안동 축산농가들이 검역을 받지 않은 것이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하는데. 국경검역 대책은?

(우희종) 질병에 대한 완전한 이해란 불가능하다. 농가에서 외국을 갔다 왔다고 해서 손쉽게 희생자를 만들어서는 안된다. 정확하게 근거를 가지고 입증해야 하는데 심지어 학계에서조차도 마녀사냥처럼 농가 탓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처럼 확산된 상황에서는 정부가 구조적으로 책임져야 한다.

국경에서의 이동 차단(검역)은 좋은 방법이지만 지금처럼 인적 교류가 많은 상황에서는 공항에서 소독받는 농가의 인권과 시간 등을 고려해서 배려하고 개선해야 한다.

보상은 어느 시점에서 이루어지나?

(박승대) 살처분 보금과 생계지원자금에 대해 가지급금 50%는 지원됐다. 나머지는 추후 논의에 따라 지급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공장식 축산의 비율은 어느정도인가?

(전진경) 돼지와 닭의 경우는 전형적인 공장식 축산을 하고 있다. 돼지는 농가 평균 1,200마리, 닭은 40,000마리가 사육되니 그 동물들의 복지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축산업 모델로 삼은 미국의 경우 이런 공장식 축사를 철거하고 있다. 이 국민들은 방목한 소고기가 밀집사육된 소고기보다 비싸더라도 방목한 소고기를 이용한다. 우리도 이렇게 돼야 한다.

TV에서 농식품부 장관 말씀이 농가가 소독만 철저히 하면 100% 차단된다고 하던데. 나같은 경우 안성에서 (구제역이) 터졌을 때 소독기를 달고 살다시피 했다. 장관이라는 분이 이렇게 축산농가에게 책임전가하는 말을 해도 되는건가.

(우희종) 정부가 매우 관료주의적이고 책임회피 하려고 한다. 구제역은 큰 틀에서는 경제적인 문제이지만 현장에서는 삶의 문제이다. 구성원들의 아픔을 정부가 헤아리지 않는다면 그 정부는 잘못된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