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협동조합연합, 대구서 첫 발

동질성 바탕 로컬푸드 규모 확대 … 생산자도 기대 커

2021-04-25     박정연 기자

[한국농정신문 박정연 기자]

지난 20일 대구시 북구 태전동에 위치한 협동조합농부장터 로컬푸드직매장에서 김기수 대구경북로컬푸드연합회장이 생활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곡물류 디스펜서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한승호 기자

“대구·경북 지역은 로컬푸드가 힘을 못 쓰던 지역이다. 이에 지역 내 같은 지향점을 둔 로컬푸드 관련 협동조합들이 산지 농산물의 공급자 역할을 하고자 연합했다.”

대구경북로컬푸드 이종협동조합연합회(대구경북로컬푸드연합회)가 만들어진 이유다. 대구경북로컬푸드연합회는 국내 첫 번째 이종협동조합연합회로 로컬푸드 사업을 하는 10개의 협동조합이 모여 협의회를 만든 것이 시작이다. 협의회 사업을 위해 법인화를 모색하던 중 작년「협동조합기본법」이 개정되면서 이종 간 연합이 가능해졌다. 이에 작년 10월 대구경북로컬푸드협의회가 연합회로 인가받아 설립됐다.

대구경북로컬푸드연합회가 출범하면서 개별 사업장에서 할 수 없던 것들이 가능해졌다. 특히 연합회 간 상호협력지원사업과 연합회의 독자적인 사업을 할 수 있게 됐다.

상호협력지원사업으로 △생산자 교육 △사업 물류 협력 △정책 사업 △대구·경북 먹거리 연대 구축 등을 하게 됐다. 연합회 독자적 사업의 경우 △공공 부분 조달사업 △지역 사업장에서 가공을 통한 생산 및 유통시스템을 갖췄다.

생산자 조합원들은 특히 생산지에서 소비지로 상품을 조달하고 공공급식 등 판로를 넓힐 수 있어 사업규모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지난 20일 대구에서 만난 김기수 대구경북로컬푸드연합회장은 “개별 사업장으로 운영될 때 추진하기 힘든 공동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한다”며 “중장기적으로 대구에는 푸드센터를 설립하고 경북에는 물류 플랫폼을 짓고자 한다”고 앞으로의 사업계획을 말했다. 아울러 이 계획은 연합회 자력만으로 필요한 규모를 완비하기 어려워 지자체와 협력 관계를 잘 쌓으려 한다고 전했다.

대구·경북 지역 로컬푸드 협동조합은 특색이 강하다. 보통 협동조합은 생산자 중심으로 이뤄지는데, 대구·경북 지역은 소비자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소비자가 직·간접적으로 노력한 결과 로컬푸드 직매장 간판을 건 지 6년째다. 이로 인해 도시에서 다양한 친환경 농산물을 받아볼 수 있게 됐다. 이제는 생산자도 많이 들어왔다. 로컬푸드 직매장 ‘농부장터’를 통해 생산자 구성원들은 더 많은 판로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

대구경북로컬푸드연합회는 모든 회원사가 로컬푸드에 관심을 두고 출범했지만, 회원사 간 배경과 상황이 조금씩 달라 소통에 어려움이 생기기도 했다. 앞으로 회원사간 조직형태가 달라 사업 진행에 난항을 겪을 때는 관리센터를 두고 각 회원사의 운영방식을 조금씩 달리해 극복할 계획이다.

김 회장은 대구경북로컬푸드연합회를 통해 로컬푸드 지역 먹거리 체계를 만드는 데 이바지하고 싶다는 포부를 내비쳤다. 그러면서 “로컬푸드의 경우 민간 부분의 역할이 커질 수밖에 없는데, 민간 거버넌스의 한 축으로 자리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한편, 앞으로 이종협동조합연합회가 더 많이 설립되고 안정적으로 정착하려면 관련 법을 개정하는 것도 방법이다. 예컨대 서로 다른 연합이 단체를 만들어 협력하기가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장애가 되는 제약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기획재정부도 더 많은 개별법 협동조합이 참여할 수 있도록 관련 법·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