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협운동 한계 극복위해 ‘경제활동 지역화’ 절실

농어연 생협 활동가 강좌에서 제기

  • 입력 2007.09.26 12:22
  • 기자명 최병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로 인한 한국 생협 운동의 한계점과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경제활동의 지역화를 통해 방어와 저항운동의 조직화가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한국농어촌사회구소(농어연) 주최로 지난 19일 열린 ‘2007 생활 협동조합 실무·활동가’ 강좌에서 김용우 상지대 국제친환경유기농센터 연구기획실장이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한국 생협운동의 흐름과 향후 과제’란 주제의 강의를 통해 한국 생협 운동이 갖는 의의로 ▷여성들을 시민사회의 주역으로 끌어낸 것, ▷친환경 유기농산물 직거래 운동으로 농업의 다원적 가치와 근원성을 사회적 화두로 끄집어 낸 것, ▷생활근거지인 지역을 중심으로 생활 문화 운동을 전개한 것 등을 꼽았다.

그러나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실천으로서 생협 운동의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지 못하고, 조합원들에게 구체적인 사회상과 삶의 모습을 만들어 내지 못했으며, 외형의 성장에 비해 내면의 성찰과 치열한 토론의 부재 등이 한국생협운동의 한계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한국 생협 운동이 직면한 외부적 현실은 신자유주의 세계화, 국가권력과 전쟁의 위기, 석유와 자원수탈에 기초한 세계 식량 체계와 삶의 위기라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세계 식량체계와 삶의 위기와 관련해서는 현재 식량체계를 주도하는 집단은 WTO, 농업강국, 농기업, 패스트푸드업체, 식품산업 등 인데, 이들은 환경을 파괴하는 농업과 노동력착취, 석유에너지를 이용한 생산과 유통 등으로 비용을 외부에 전가하면서 싼 가격으로 식량시장을 장악해 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실장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제활동의 지역화가 시급히 이루어 져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이를 위해 이웃들과 다양한 지역 공동체를 만들고 경제를 재건하는 일을 시작해야 하며 여기에는 물물교환, 지역통화, 지역식품시스템(local food system) 등의 활용을 넘어 생태마을과 공동체를 창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