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기업 육성, 농촌 재생에 활용하자

  • 입력 2009.09.22 09:52
  • 기자명 한국농정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느새 9월이다. 바람불면 찰랑이던 벼들의 웅얼거림이 올해도 예사롭게 들리지 않는다. 모든 생산은 소비가 최종목적이다. 그리고 그 소비는 적정한 값이 형성돼야 다음 생산을 지속할 수 있다. 이것이 순환이다. 그리고 순환은 곧 재생의 힘이다. 그러나 지금 농촌지역은 순환의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물질, 인간, 자연 모든 측면에서 재생의 위기를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는 농촌지역이 당면한 아주 오래된 과제이다.

그 동안 많은 사람들이 그 답을 찾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순환농업, 로컬푸드, 체험마을, 농-도교류 등 여러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단선적인 방향일 뿐 총체적인 시스템의 확대로 가기에는 많은 과정이 필요하다. 그것은 농촌 재생에 필요한 것은 단순히 먹을거리나 소득의 문제만이 아니라 사회경제적인 측면 전체로서의 삶의 공간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무엇을 통해서 농촌의 재생을 확대할 것인가? 많은 방법이 있지만 최근 확대되고 있는 사회적기업을 농촌재생에 적극 활용할 필요성을 제기해본다. 사회적 기업은 오늘날 새로운 기업모델로 전세계에서 확산되고 있다. 최근 우리사회에서도 사회적기업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노동부는 2013년까지 사회적기업을 1000개 규모로 확대한다고 한다.

그러나 농촌형 사회적기업은 많지 않다. 사회적기업의 특성이 공공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는 점, 취약계층의 일자리와 사회서비스의 제공 등 어려움이 많지만 농촌형 사회적기업이 적은 근본적인 이유는 정보의 미흡과 농촌지역 내에 사회적기업을 조직할 사회조직 세력의 약화와도 무관하지 않다.

농촌지역에서 사회적기업이 할 수 있는 역할은 매우 많다. 취약계층에 대한 농촌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의 확충만이 아니라 농촌공동체나 마을기업의 창출을 통한 지역공동체 유지발전모델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취약계층의 영농을 대행하는 농사지원, 소규모 생산자들의 농산물을 가공판매하는 소규모 농식품회사, 농어촌지역 전반에 대한 문화서비스 확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업을 전개할 수 있다.

따라서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이나 사회서비스 확대 만이 아니라 농촌재생이라는 관점에서 적극적인 농어촌형 사회적기업의 모델 발굴 및 적극육성과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자체의 관심증대와 제도마련(조례 등) 및 지역농민단체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강력한 지원정책이 이루어져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