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농축산업 대변할 비례대표 필요하다”

축단협, 농업계 인사의 안정적인 공천 요구
거대 정당, 농업계 비례대표 하위권 배치
열악한 농업문제 해결 위한 농업계 출신 의원 절실

  • 입력 2020.03.22 18:00
  • 기자명 장희수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장희수 기자]

300만 농축산인은 오는 4월 15일 치러지는 총선에서 정치·경제적 이해를 대변해 줄 농업계 인사의 비례대표 공천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농어촌 지역구는 대폭 축소됐고 농업계 비례대표는 일부 정당으로부터 당선 가능성이 낮은 순번을 받는 등 농축산업을 대변할 국회의원과 농축산인의 설자리도 줄어드는 상황이다. 21대 국회의원 총선거는 비례대표 의석수를 지역구 의석수와 정당 득표비율로 연동하는 ‘준연동형비례대표제’로 처음 시행된다. 이번 선거제도의 개정으로 농축산인은 군소정당을 비롯한 여야정당의 농업계 비례대표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각 정당의 입장이 명확하지 않고 농업이 제한경쟁분야로 할당된 것이 아니라 일반경쟁분야를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농업계 인사의 진출이 쉽지 않다.

실제로 정치적 영향력이 가장 큰 거대 정당의 비례대표 명단에는 농업계 인사가 우선순위에 있지 않다. 더불어민주당의 비례대표 중 농업계 인사는 17번(백혜숙,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전문위원)과 18번(김상민, 전북 농어민위원회 위원장)을 받았으며, 미래통합당의 비례대표용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도 18번(정운천, 한국참다래유통사업단 대표)이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회장 김홍길, 축단협)는 비례대표가 사회경제적 소수 집단의 이해를 대변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므로, 비례대표의 근본 취지를 살려 사회적 약자로 농어촌에서 점점 소외받는 농축산인을 대변할 농업계 인사의 안정적인 공천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홍길 축단협 회장은 “현 정부 초기부터 농업 행정을 담당하던 인사가 자주 교체돼 농정의 공백기를 경험한 농축산인들에게 국회의 여야정당도 같은 실망을 주지 않길 바란다”며 “농축산인들은 높은 산업 이해도를 기반으로 정확히 문제를 짚어줄 수 있고, 열악한 현장의 목소리를 제도에 담아낼 수 있는 농업계 출신의 국회의원을 절실히 필요로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