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 농민후보 인터뷰] 김영호 민중당 비례대표 후보

“개인 김영호가 아닌 농민이 국회로 가는 것입니다”

  • 입력 2020.03.20 13:27
  • 수정 2020.03.20 21:36
  • 기자명 원재정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원재정 기자]

농업을 살리는 정치를 하겠다고 농민들이 4.15 총선 후보로 나섰다.
거대 정당들은 물론 진보정당들조차 농업의제를 외면하는 가운데 농민회 출신 국회의원 후보들은 어떤 마음다짐을 하고 있는지 출마의 변을 들어본다.

 

김영호 민중당 비례대표 후보가 지난 16일 전국농민회총연맹 회의실에서 이번 총선 출마 배경과 농정공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승호 기자
김영호 민중당 비례대표 후보가 지난 16일 전국농민회총연맹 회의실에서 이번 총선 출마 배경과 농정공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승호 기자

“민중당이 4.15 총선에서 정당투표 3%만 넘기면, 농민 후보 저, 김영호가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됩니다. 농업 살리는 정치, 농민이 해야 제대로 하지 않겠습니까.”

지난 16일 서울 용산구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회의실에서 만난 김영호 후보는 보수 정당들이 ‘등외’로 취급하는 농업문제에 팔을 걷어붙이겠다는 각오부터 밝혔다. 비례후보 2번. 어느 정당보다 농민후보 우선권을 부여한 상황 속에 농촌현장의 분위기도 한층 달아오르고 있다.

2014년부터 전농 의장을 맡아 민중총궐기 투쟁으로 박근혜 퇴진 단초를 제시했고, 전봉준투쟁단을 조직해 결국 퇴진운동의 쐐기를 박았다. 소회를 다시 듣고 싶다.

2014년은 이명박-박근혜정권 9년의 시간이 흘러가던 때다. 그 때는 언론도 다 무너지고 종편이 나오고 정당이나 학자 누구도 바른말을 못하던 시절이기도 했다. 그러나 역사를 거꾸로 돌릴 수는 없는 법이다. 이 정국을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 전농 지도부의 고민도 깊었다. 민주노총과 연대를 제안했다. 몇 만씩 모이던 부문별 집회 보다 전 계층이 한 덩어리로 싸우면 길이 열리지 않겠냐고 의견을 모았다. 물론 논의는 길었고 진지했다. 2015년 11월 14일, 민중총궐기가 확정되고 그때부터 싸움이 시작됐다. 전봉준투쟁단을 결성하고 국회 앞에서 탄핵소추안이 가결됐다는 소식을 듣고 덩실덩실 춤을 추던 농민투쟁단도 여전히 생생하고,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안 판결하던 그 때도 잊지 못할 순간이다. 시민들과 농민들이 한마음 한 뜻으로 뭉쳐서 결국 만들어낸, 역사의 결실이었다.

19대 총선에도 예산·홍성지역구에 출마했었다. 농사를 짓다가 8년 만에 다시 총선에 나선 이유는.

정치는 먹고 살기 위해서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 정치는 우리 삶과 직결돼 있다. 군 제대 후부터 지금까지 농민으로 살아왔다. 농산물 값이 좋지 않아 이 생각 저 생각 참 많이 하면서 속상해 했는데, 결국 농업구조의 문제라는 결론을 얻었다. 그래서 사회운동에도 참여하고 농민운동까지 발을 딛게 됐다. 모든 농산물이 수입되는 구조 속에 국내 농산물은 바람 앞의 촛불 격이다. 잠재적 공급과잉 농산물 시장에서 우리 농산물 값은 불안정하기 짝이 없다. 국회라는 곳에서 법이 만들어지고 우리 삶이 결정되는 것을 빤히 보고 있다. 그런데 법과 제도라는 것이 우리 삶을 살리는 것이 아니라 차츰 늪으로 빠뜨린다면, 보고만 있을 순 없지 않나. 안 될 때는 뛰어넘어야 하는 거다. 농정이 망가질 때로 망가져 있을 때 농민들이 정치에 뛰어들어 바로 잡아야 한다는 생각에서, 전국농민회총연맹 조직후보로 뛰고 있다.

전국 곳곳의 농민들을 만나고 계신다. 어떤 이야기를 가장 많이 듣나.

선거는 표를 얻어야 되는데, 표는 사람 마음을 얻지 않으면 한 표도 오지 않는다. ‘민중당’이 생소한 분들도 많다. 하지만 민주노동당, 통합진보당 등 역사가 분명한 정당이다. 우리가 정당득표 3%를 돌파하면 노동자·농민·서민이 ‘우리’ 정치를 하는 길이 생긴다. 저는 농민대표이니 지금까지(16일 기준) 전남·북, 경남, 충남·북까지 농민들을 만나고 왔다. 농촌지역부터 황색바람을 일으켜서 서울·경기를 휘감겠다고 말했고, ‘전봉준을 국회로 보내자’고 한목소리로 응원해 주셨다. 만날수록 힘이 샘솟는다. 오늘은 강원지역 농민분들 만나러 간다.

‘김영호를 국회로’를 외치는 농민들의 열기가 대단하다. 그런데, 진보정당을 통한 정치세력화는 전농 내부의 논란도 만만치 않다. 전농에 있어 진보정당 운동의 의미는 무엇인가.

과거엔 “운동만 하지 무슨 정치까지 하냐”는 말들을 참 많이 했었다. 하지만 정치는 숨 쉬면서 죽을 때까지 우리 삶과 뗄 수 없다. 세상을 바꾸고 인간 삶의 가치를 추구하고자 운동을 하고 있는데, 농산물 제값 받는 것만 목표로 운동하지 않는다. 내 농산물 값을 제대로 받자는 것은 나의 삶과 땀의 가치를 인정받자는 것이고, 더 나아가 가족공동체를 유지하고 지역과 사회를 건강하게 만들자는 것으로 확산된다. 전농이 지향하는 강령이 있다. 진보운동은 진보정치로 가는 것이 당연한 수순이다. 더 나아가 정치만으로도 한계가 있으면 사회운동을 통해 바꿔야 한다. 그런 면에서 전농은, 어려운 가운데 방향을 잘 잡고 가고 있다.

농정공약도 소개해 달라.

민중당은 농정공약 15가지를 제시했는데, 농민권리를 인정받는 농민수당 법제화, 농산물 최저생산비 보장, 농지문제, 식량안보 등이 주축이다. 핸드폰·TV 팔려고 농업희생을 당연시하는 정책으로 농업·농촌·농민이 송두리째 무너졌다. 이 농정을 갈아엎는 일이 농정공약의 핵심이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국제사회가 멈춰 섰다. 사람이 오도 가도 못 하는 세상이 이렇게 순식간에 벌어졌는데, 식량문제를 여기에 대입해 보자. 세계적 비상사태에 직면하면 먹거리 이동도 중단될 수밖에 없다. 2007년, 2008년 식량파동 때 수출금지령도 실제 벌어지지 않았나. 식량주권, 우리 국민의 안전한 먹을거리를 천박한 수출지상주의 정책 후순위로 미뤄둬선 절대 안 된다.

농업이 공공재라는 사회적 약속이 민중당을 통해 실현되길 기대한다. 전국 순회 중 기억에 남는 유권자도 있을 것 같은데.

지난 2월 5일 전농 대의원대회는 한 개인을 국회의원 만들고자 한 것이 아니라 전농이 국회 가는 것을 결의한 자리였다. 전국을 다니면 전농 조직후보를 낸 것에 깊게 공감하고 참여하시는 분들을 정말 많이 만난다. 근자에 이런 분위기를 느끼기 어려웠다고 반겨주시는 분들도 상당하다. 농민운동 활동가들도 농민수당 제정 운동을 통해 전농과 민중당에 대한 인식을 달리하는 주변 분들이 많다고 말씀해주신다. 참 고마운 일이다. 한 말씀 더 드리자면, 개방농정 부르짓던 사람들만 그득한 공직사회와 학자층들, 더 이상 농업문제 얘기하지 말고 자리에서 물러났으면 좋겠다. 민중당 농민 비례후보 잘 뽑았다는 말 듣도록 더 열심히 뛰겠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