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위기, 동북아농업협력으로 해법 찾자

동북아평화경제협회 월례포럼

  • 입력 2020.01.12 18:00
  • 기자명 권순창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권순창 기자]

동북아평화경제협회는 지난 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농업위기를 주제로 월례포럼을 개최했다.
동북아평화경제협회는 지난 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농업위기를 주제로 월례포럼을 개최했다.

동북아평화경제협회(이사장 이치범)는 지난 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동북아농업협력으로 농업 위기를 기회로’라는 주제로 월례포럼을 개최했다.

동북아평화경제협회는 동북아 경제협력과 남북화합을 모색하기 위해 매월 그 시기의 이슈를 정해 월례포럼을 열고 있다. 그간 농업을 주제로 한 월례포럼이 없었던 건 아니지만 이번 포럼은 경제협력의 수단으로서 농업을 논하는 게 아닌, 농업 위기의 해법으로서 대외경제협력을 논하는 농업 중심적 관점의 토론이 이뤄진 게 특징이다.

매개가 된 건 전국을 돌아다니며 농민들과의 접점을 넓히고 있는 백혜숙 지역상생포럼(준) 대표(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전문위원)다. 실제 이날 포럼엔 이례적으로 농민들이 다수 참석하기도 했다. 백 대표는 “동북아평화경제협회 월례포럼의 새해 첫 단추를 농업으로 꿰게 된 이유가 있다. 농업은 기본 중의 기본이며 우리가 먹는 먹거리 문제의 시작이기 때문”이라며 농업의 다양한 가치와 식량주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토론자로 나온 이용범 원광대 석좌교수는 남북 농업협력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 교수는 농산물 생산·가공과 농자재 등 다양한 교류협력을 통해 북한 수요충족 및 해외수출을 노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아직까지 우리 측의 북한 농업전문가가 극히 적고, 북한에는 각 분야별 첨단기술을 받아들일 전문인력이 부족하다”며 인력 양성을 남북 농업협력의 핵심으로 꼽았다.

김기형 전국농민회총연맹 사무총장도 “북은 밭 면적이 절대적으로 많으며 남은 논 면적이 많다. 상호 생산물 조정 가능성이 충분하다”라며 남북 공동 식량계획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하지만 신북방정책에 대해선 “농업 위기는 구조적 문제이기 때문에 수출이나 해외농업개발로 돌파하는 것이 불가하다”며 부정적 견해를 밝혔다.

정왕룡 경기도 농정해양 정책보좌관은 휴전선을 두지 않은 한강 하구지역이 남북 경협의 출발점이 될 수 있으며 여기에 농업과 지자체가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한강 하구에서 과거의 예성강 ‘벽란도 문화권’을 복원해 남북교류를 활발히 하고, 멀리는 ‘발해 문화권’을 복원해 동북아 경제협력을 꾀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규태 <식량닷컴> 푸드플랜연구소 부소장은 “우리 농업의 어려움은 UR·WTO에서부터 시작된 총체적 문제라 정책 하나를 잘 만든다고 살아날 수 없다. 이를 종합적으로 해결해보자 해서 나온 게 푸드플랜”이라며 “지역을 넘고 국가를 넘어, 동북아 지역으로 확대해 푸드플랜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